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890459391> ?p ?o ?g. }
Showing items 1 to 35 of
35
with 100 items per page.
- W2890459391 endingPage "229" @default.
- W2890459391 startingPage "217" @default.
- W2890459391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있어서 남녀에 따라 자존감의 매개 효과 에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 법: 종합병원과 벤처기업 등의 회사에서 일반사무직으로 근무하는 남성 226명과 여성 119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검사(OSI)의 일부와 BDI(Beck s Depression Index),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의 state anxiety inventory, SCL-90-R(Symptom Check List-90-Revised)와 RSES(Rosenberg’s Self- Esteem Scale)를 실시하였다. 변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여기에 미치는 자존감의 매개 효과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 남녀 각각에 대해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직장 남성의 경우 역할 경계 변인과 역할 불충분 변인이, 직장 여성의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과 역할 과부 하 변인이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은 남성의 경우에만 직무스트레스와 상기 증상에 매개 변인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직장 남성의 경우에는 각 개인의 역할 경계를 명확히 하고 주어진 역할에 적절한 직무를 부과하며 개인의 능력 수준에 어울리는 충분한 수준의 직무를 부과하는 것이 정신과적 증상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 편 여성의 경우에는 직장 내에서 유해한 작업 환경에 노출되는 정도를 줄여 주고 각 개인의 역량과 여건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의 직무를 부과하는 것이 정신과적 증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성의 경우에는 자존감의 수준이 높으면 직무 스트레스 변인이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감 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자신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느끼는 정도인 자존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를 줄임으로써 정신과적 증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default.
- W2890459391 created "2018-09-27" @default.
- W2890459391 creator A5026532299 @default.
- W2890459391 creator A5033070895 @default.
- W2890459391 date "2001-03-30" @default.
- W2890459391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890459391 title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자존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default.
- W2890459391 hasPublicationYear "2001" @default.
- W2890459391 type Work @default.
- W2890459391 sameAs 2890459391 @default.
- W2890459391 citedByCount "0" @default.
- W289045939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890459391 hasAuthorship W2890459391A5026532299 @default.
- W2890459391 hasAuthorship W2890459391A5033070895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 C118552586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 C2779631380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 C558461103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 C70410870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Score W2890459391C118552586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Score W2890459391C15744967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Score W2890459391C2779631380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Score W2890459391C558461103 @default.
- W2890459391 hasConceptScore W2890459391C70410870 @default.
- W2890459391 hasIssue "2" @default.
- W2890459391 hasLocation W28904593911 @default.
- W2890459391 hasOpenAccess W2890459391 @default.
- W2890459391 hasPrimaryLocation W28904593911 @default.
- W2890459391 hasVolume "40" @default.
- W2890459391 isParatext "false" @default.
- W289045939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890459391 magId "2890459391" @default.
- W289045939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