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1654080003> ?p ?o ?g. }
Showing items 1 to 74 of
74
with 100 items per page.
- W1654080003 endingPage "225" @default.
- W1654080003 startingPage "216" @default.
- W165408000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거주 유형별 야식 섭취 상태를 비교하여 적절한 야식 지도에 활용하고자 자가, 기숙사, 자취 대학생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야식 관련 식행동, 야식 메뉴별 섭취 빈도와 기호도, 영양소 섭취 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전체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8세,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167.7 cm, 59.4 kg, 20.9 kg/m2였으며, 성비는 남학생 43.7%, 여학생 56.3%였고 거주형태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식 비율은 자가군 65.7%, 기숙사군 84.0%, 자취군 73.6%(P<0.001), 일주일에 2~3회 야식하는 비율은 자가군 23.8%, 기숙사군 29.7%, 자취군 32.1%(P<0.05)로 자취군의 야식 비율과 야식 빈도가 높았다. 야식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배가 고파서’와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서’라는 비율이 높았다. 야식하는 시각은 자가군의 경우 9~11시가 31.4%로 가장 높았으나 기숙사군은 11시와 새벽 1시 사이가 60.7%로 가장 높았고, 자취군은 9~11시, 11시~새벽 1시가 각각 34.2%를 보여 기숙사생이 가장 늦은 야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야식 비용은 자가군과 자취군의 경우 5,000~10,000원이라는 응답이 각각 21.0%와 35.4%, 기숙사군의 경우 3,000~5,000원이 35.1%로 가장 높았다(P<0.001). 야식 시 영양과 건강을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항상 생각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자가군 15.2%, 기숙사군 14.1%, 자취군 11.8% 순으로 높았다(P<0.01). 함께 야식하는 사람은 자가군이 친구(38.1%), 가족(27.6%) 순으로 높았으나 기숙사군과 자취군은 친구와 함께 하는 비율이 모두 71.1%로 매우 높았다(P<0.001). 야식 메뉴의 섭취 빈도에서 치킨(P<0.05), 빵(P<0.01), 과일(P<0.001), 분식(P<0.01), 주류(P<0.05)가 거주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주일에 2번 이상 자주 섭취한다는 비율이 자가군은 빵과 과일류, 기숙사군은 치킨과 분식, 자취군은 분식과 주류가 다른 거주형태의 학생들보다 높았다. 야식 메뉴의 기호도 평가에서 보쌈/족발은 자취군(P<0.05), 음료/차류는 자가군(P<0.05)이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에너지 섭취량은 기숙사군이 1,761.6 kcal로 자가군의 1,527.1 kcal와 자취군의 1,616.4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콜레스테롤의 섭취 밀도는 자취군이 세 군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숙사생은 자가생이나 자취생보다 야식 비율과 빈도가 높았으며, 가장 늦은 야식, 적은 야식비용, 야식 메뉴로 치킨과 분식의 잦은 섭취를 보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야식 지도가 더욱 요구됨과 함께 대학생들의 거주형태에 따라 야식 섭취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default.
- W1654080003 created "2016-06-24" @default.
- W1654080003 creator A5010192471 @default.
- W1654080003 creator A5015566736 @default.
- W1654080003 creator A5066865242 @default.
- W1654080003 date "2015-02-28" @default.
- W1654080003 modified "2023-09-29" @default.
- W1654080003 title "Night Eating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in University Students" @default.
- W1654080003 cites W102384406 @default.
- W1654080003 cites W1758712663 @default.
- W1654080003 cites W1872912693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15156836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27884041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43109070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55777406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78506812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85059923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085662190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106329039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111511152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157002701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212237385 @default.
- W1654080003 cites W2256080793 @default.
- W1654080003 doi "https://doi.org/10.3746/jkfn.2015.44.2.216" @default.
- W1654080003 hasPublicationYear "2015" @default.
- W1654080003 type Work @default.
- W1654080003 sameAs 1654080003 @default.
- W1654080003 citedByCount "10"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15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16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18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19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20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21 @default.
- W1654080003 countsByYear W16540800032023 @default.
- W165408000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1654080003 hasAuthorship W1654080003A5010192471 @default.
- W1654080003 hasAuthorship W1654080003A5015566736 @default.
- W1654080003 hasAuthorship W1654080003A5066865242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14079395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142796444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17879062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18559268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126322002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14079395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142796444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17879062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18559268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71924100 @default.
- W1654080003 hasConceptScore W1654080003C86803240 @default.
- W1654080003 hasIssue "2" @default.
- W1654080003 hasLocation W16540800031 @default.
- W1654080003 hasOpenAccess W1654080003 @default.
- W1654080003 hasPrimaryLocation W16540800031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021521586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142558922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148435174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264582095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288150334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406502614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514640741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1654080003 hasRelatedWork W3005309542 @default.
- W1654080003 hasVolume "44" @default.
- W1654080003 isParatext "false" @default.
- W165408000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1654080003 magId "1654080003" @default.
- W165408000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