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1874759231> ?p ?o ?g. }
Showing items 1 to 74 of
74
with 100 items per page.
- W1874759231 endingPage "72" @default.
- W1874759231 startingPage "61" @default.
- W1874759231 abstract "측두하악장애(TMD)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TMD 환자에서의 삶의 질은 저하된다. 일반 인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치과병원 종사자 또한 TMD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그 중 다수가 시간과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TMD 증상을 간과하거나 참게 되며, 이에 따라 TMD 증상이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나타나는 TMD 증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모집되었고, 대상자들은 동의서 작성 후 WHOQoL 삶의 질 설문지를 기입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TMD의 주관적, 객관적 징후와 증상에 대해 평가되었다. 대상자들은 4가지 군으로 분류되었다 : (1) 정상 군 (2) 관절 장애 군 (3) 국소 근육통 군 (4) 근막동통 군. 총 대상자 중 64.7%가 TMD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전체 대상자 중에서 무증상군이 사회적 영역 및 그 하부척도 일부, 환경 영역의 하부척도 중 가정환경,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에서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TMD 증상에 따른 진단 분류군 간에는 영적, 종교적, 개인적 신념 영역 외에는 삶의 질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국소 근육통 군이 관절 장애 군과 근막동통 군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의사군 내에서는 증상군에서 전체적인 삶의 질이 낮았으며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정신적 영역, 독립성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도 증상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그 하부척도인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대인관계, 성적 활동, 가정환경, 재정적 자원, 여가생활, 물리적 환경, 교통수단에서 무증상군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진료보조인력군 내에서의 전반적인 삶의 질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관계 영역 및 그 하부척도인 대인관계에서는 증상군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TMD 증상이 나타난 치과병원 종사자에서 삶의 질이 낮음을 보였고, TMD 증상과 치과병원 종사자의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추후 치과병원 종사자에서의 TMD 증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is relatively prevalent disease, and quality of life may be impaired in TMD patients. Like general population, dental hospital workers are also exposed to the risk of TMD. But, many of them tend to overlook or tolerate their symptoms for lack of time and interest. Therefore, problems may become more serious, causing interference of performing task and decrease of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data for TMD prevalence in dental hospital workers and to evaluat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MD symptoms.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After consent, subjects comple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nd were evaluated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signs and symptoms of TM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 (1) normal group (2) joint disorder group, (3) local myalgia group, and (4) myofascial pain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MD negatively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in dental hospital worker. TMD symptoms can deteriorate quality of life in dental hospital worker. Future effort to make protocol for proper management is needed." @default.
- W1874759231 created "2016-06-24" @default.
- W1874759231 creator A5038170110 @default.
- W1874759231 creator A5079906018 @default.
- W1874759231 creator A5084362283 @default.
- W1874759231 date "2012-03-30" @default.
- W1874759231 modified "2023-10-17" @default.
- W1874759231 title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in Dental Hospital Worker" @default.
- W1874759231 cites W1887481345 @default.
- W1874759231 cites W1970141178 @default.
- W1874759231 cites W1973448457 @default.
- W1874759231 cites W1984527726 @default.
- W1874759231 cites W1998513198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14469489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70618756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77618007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78719299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84334381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90368839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097152904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137762574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153037374 @default.
- W1874759231 cites W2429180991 @default.
- W1874759231 cites W4235952067 @default.
- W1874759231 doi "https://doi.org/10.14476/jomp.2012.37.1.061" @default.
- W1874759231 hasPublicationYear "2012" @default.
- W1874759231 type Work @default.
- W1874759231 sameAs 1874759231 @default.
- W1874759231 citedByCount "3" @default.
- W1874759231 countsByYear W18747592312014 @default.
- W1874759231 countsByYear W18747592312016 @default.
- W1874759231 countsByYear W18747592312018 @default.
- W187475923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1874759231 hasAuthorship W1874759231A5038170110 @default.
- W1874759231 hasAuthorship W1874759231A5079906018 @default.
- W1874759231 hasAuthorship W1874759231A5084362283 @default.
- W1874759231 hasBestOaLocation W18747592311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159110408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1862650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199343813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2778616394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2779951463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3018395897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126322002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159110408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1862650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199343813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2778616394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2779951463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3018395897 @default.
- W1874759231 hasConceptScore W1874759231C71924100 @default.
- W1874759231 hasIssue "1" @default.
- W1874759231 hasLocation W18747592311 @default.
- W1874759231 hasOpenAccess W1874759231 @default.
- W1874759231 hasPrimaryLocation W18747592311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020574996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050605791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108873001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200962920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741743773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2752094163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3159506074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4210330303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4210781808 @default.
- W1874759231 hasRelatedWork W4298138458 @default.
- W1874759231 hasVolume "37" @default.
- W1874759231 isParatext "false" @default.
- W187475923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1874759231 magId "1874759231" @default.
- W187475923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