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000423330> ?p ?o ?g. }
Showing items 1 to 81 of
81
with 100 items per page.
- W2000423330 endingPage "576" @default.
- W2000423330 startingPage "563" @default.
- W2000423330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업무형태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업무 시 노출되는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 내 악습관이 측두하악장애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아 보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으로부터 편의 추출된 45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3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하악사용에 관한 구강 내 악습관,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문지의 양성응답 수의 빈도에 따라 무증상인 1단계에서 양성응답 수가 가장 많은 4단계 까지 총 4그룹으로 나누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여러 요인들 간의 연관성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및 경향성 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은 75.4%였고,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주관적 증상으로는 관절잡음이 56.4%로 가장 주된 증상 중 하나였으나 남녀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두통이나 목의 통증이 36.5%이었고, 귀, 관자놀이, 볼 주위의 통증이 22.1%로 높았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 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증상이 없는 경우 여성에서 19.1%, 남성에서 36.6%로 여성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그룹보다 20 - 30대그룹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악 사용과 관련된 악습관 및 직무스트레스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악 사용과 관련된 습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개수도 많아졌고, 습관이 한 가지씩 늘어날수록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없는 1단계보다 3단계가 될 위험이 1.45배, 4단계가 될 위험이 1.57배 높아졌다.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하위단계에서 한 단계 높아지면 측두하악장애 1단계에서 4단계가 될 위험이 2.49배, 두 단계 높아지면 3.43배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측두하악장애와 업무특성에 따른 연관성은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개수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업무형태 보다는 심인적인 부분이 더 중요한 인자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측두하악장애 평가 시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행동적, 심리 사회적 문제로 예측인자를 폭넓게 인식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발생된 경우 임상적 치료뿐 아니라 행동요법 및 심리 치료와 자가 관리 등이 함께 수반되어 기여요인 조절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default.
- W2000423330 created "2016-06-24" @default.
- W2000423330 creator A5001834499 @default.
- W2000423330 creator A5030334857 @default.
- W2000423330 creator A5039139370 @default.
- W2000423330 creator A5055495888 @default.
- W2000423330 date "2012-06-30" @default.
- W2000423330 modified "2023-10-14" @default.
- W2000423330 titl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default.
- W2000423330 cites W134228321 @default.
- W2000423330 cites W1538233390 @default.
- W2000423330 cites W1779088256 @default.
- W2000423330 cites W1946639054 @default.
- W2000423330 cites W1965828451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03186871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14415792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25364330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65754493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74818230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77618007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90368839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098132581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126772365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146677418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155585181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202248320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230881636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311656649 @default.
- W2000423330 cites W2392821464 @default.
- W2000423330 cites W89323468 @default.
- W2000423330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3.563" @default.
- W2000423330 hasPublicationYear "2012" @default.
- W2000423330 type Work @default.
- W2000423330 sameAs 2000423330 @default.
- W2000423330 citedByCount "3" @default.
- W2000423330 countsByYear W20004233302014 @default.
- W2000423330 countsByYear W20004233302015 @default.
- W2000423330 countsByYear W20004233302016 @default.
- W20004233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000423330 hasAuthorship W2000423330A5001834499 @default.
- W2000423330 hasAuthorship W2000423330A5030334857 @default.
- W2000423330 hasAuthorship W2000423330A5039139370 @default.
- W2000423330 hasAuthorship W2000423330A5055495888 @default.
- W2000423330 hasBestOaLocation W20004233301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14413356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16285337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21547014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2780378061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3019136136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 C99454951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127413603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14413356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16285337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21547014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2780378061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3019136136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71924100 @default.
- W2000423330 hasConceptScore W2000423330C99454951 @default.
- W2000423330 hasIssue "3" @default.
- W2000423330 hasLocation W20004233301 @default.
- W2000423330 hasOpenAccess W2000423330 @default.
- W2000423330 hasPrimaryLocation W20004233301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17561959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030700008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041477914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138939729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342987591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369612289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991461195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4212872796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4294324154 @default.
- W2000423330 hasRelatedWork W2309274958 @default.
- W2000423330 hasVolume "12" @default.
- W20004233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20004233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000423330 magId "2000423330" @default.
- W20004233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