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009644676> ?p ?o ?g. }
Showing items 1 to 83 of
83
with 100 items per page.
- W2009644676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habits, and dietary behavior. Subjects wer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yang, Gyeonggi-do. A 5-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28 children and another 26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as a control group.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ean nutrition related knowledge score was improved after education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of nutrient source (p < 0.05), role of protein (p < 0.05), food tower (p < 0.001), getting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ing (p < 0.05), and proper way of snacking (p < 0.001). Eating habits and self-efficacy also tended to improve by nutrition education, especially eating habit of snack and self-efficacy on balanced diet reached significant improvement (p < 0.05). Food consumption frequenc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only consumption of sea weeds which is considered as a reluctant food among children was increased after education (p < 0.05). In addition, the number of leftover food items and total amount of leftover at school lunch reduced 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when compared with the same 10-day menu prior to education (p < 0.01). This result suggests that unbalanced dietary behavior has been changed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habits, and dietary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 16(2) : 183~194, 2011) KEY WORD : elementary school children·nutrition education·nutrition-related knowledge·school lunch leftover ————————————————————————— 서 론 ————————————————————————— 학령기는 7세에서 12세 까지의 초등학교 아동의 연령에 해당되는 시기로 신체적 성장속도는 완만하나 청소년기의 급 속한 성장을 준비하는 시기로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가 매우 필수적이며(Trahms 2000), 이를 위해 균형 잡힌 영양공 급과 올바른 식습관의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어릴 때의 식 습관은 성장 발육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성격형성에도 큰 영 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Koo 등 2006). 그러나 학령기아동은 건강과 영양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 하고 식품선택에서 영양성보다 기호성에 치우쳐 많은 영양문 제를 초래할 수 있다.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연령 6~11세에 해당하는 학령기 아동의 영양소 섭취실태에 서 칼슘은 권장섭취량의 63.2%, 칼륨은 충분섭취량의 53.0% 로 기준량에 비해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반면, 나트륨(충분 섭취량의 240.1%), 단백질(권장섭취량의 196.6%), 인(권 장섭취량의 126.5%) 등의 영양소는 영양섭취기준이상으로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영양불균형의 문제가 제시되었다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HWFA)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접수일: 2011년 2월 17일 접수 수정일: 2011년 3월 21일 수정 채택일: 2011년 3월 30일 채택 Corresponding author: Hye-Kyeong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 Nutri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43-1 Yeokgok 2-dong, Wonmi-gu, Bucheon, Gyeonggi-do 420-743, Korea Tel: (02) 2164-4314, Fax: (02)2164-4314 E-mail: hkyeong@catholic.ac.kr 184·초등학생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and Prevention(KCDCP) 2009). 학령기 아동의 영양문 제로는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성장장애, 과체중, 비만, 충치, 철 결핍성 빈혈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Lee 등 2005), 이것 은 식생활의 서구화, 식품산업의 발달,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식사, 편식, 부적절한 간식 섭취, 맞벌이 부모의 무관심에 의한 아동의 영 양방임을 원인으로 하고 있다(Kim & Choi 2008; Lee 등 2008; Oh 등 2008). 또한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 실태 조사 결과, 아침 식사 결식률은 전체 평균치(21.1%)에 비해서는 낮은 10.3% 이었으나 성장기임을 감안할 때 개선해야 할 부 분으로 보인다. 이러한 영양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 성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여러 선행연구에서 교 사, 영양사, 학부모, 아동의 대부분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ark & Chang 2004; Park 등 2006; Shin 등 2006). 그러나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 사 결과 초등학생 연령층의 21.0% 만이 최근 1년 이내에 영 양교육이나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하여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영양교육의 실태와는 아직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가공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표시 이용 여부(10.8%) 나 식생활지침 인지율(3.8%)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육을 받은 경우에도 아동이 실생활에 적용하고 실천 하도록 하는 데는 효과를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학령기는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고 식습관이 직접적으로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일단 형성된 성인의 식습관은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어린 시절의 영양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학교를 근거지로 한 건강영양 프로그램이 영양불량 및 건강문제 해결에 경제적 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고(Bundy 2005), 우리 나라에서도 2006년 영양교사 제도가 실시된 이래 학교영양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고 비만관리, 편식 개선, 영양표시 읽 기 등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Shin 등 2004; Hyun & Kim 2007; Yon & Hyun 2007). 한편 영양교육은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므로 영양지식의 증가 뿐 아니라 행동변화를 유발하 는 중요요인인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있었는지 구체 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은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해가는 집단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서 영양교육 효 과가 더 빠르므로 저학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 다고 제안하였다(Suh & Kim 1998; Lee 등 2005). 또한 강의 위주의 교육보다는 게임, 노래, 역할극 등 다양한 활동 위주의 영양교육이 아동의 이해도와 흥미를 높이고 효과적 임이 보고되었다(Lee 2003; Woo 등 2006). 그러나 현실 적으로 영양교육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인 학교현 장에서 많은 학생을 활동위주의 교육만으로 진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저소득층이 많은 본 연구대상지역은 초 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기초학력 부진으로 한글을 체득하지 못한 경우가 상당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의 내용 전달과 조별활동에 어려움이 없 는 3학년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시행하고 그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영양교육과정 안을 제시한 선행연구에서 중학년의 영양교육은 복잡한 지 식전달보다는 영양소의 역할, 작용 등의 기능적 영양지식 전 달과 태도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Hwang 2008).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동영 상, 노래, 모형놀이, 모듬학습지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 업을 진행한 후, 영양지식, 식습관, 식이자기효능감, 식품섭 취빈도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학교급식의 실제 잔반량 변화 를 측정하여 식행동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연구대상 및 방법 —————————————————————————" @default.
- W2009644676 created "2016-06-24" @default.
- W2009644676 creator A5033969154 @default.
- W2009644676 creator A5064829479 @default.
- W2009644676 creator A5068100868 @default.
- W2009644676 date "2011-01-01" @default.
- W2009644676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009644676 title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fault.
- W2009644676 cites W1202686844 @default.
- W2009644676 cites W1513000878 @default.
- W2009644676 cites W1596362055 @default.
- W2009644676 cites W1606543144 @default.
- W2009644676 cites W1643092122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051631794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119840101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126029149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126552348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131289022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144562606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261778171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282943995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293788561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320358398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515112135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989904451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990306416 @default.
- W2009644676 cites W3024225769 @default.
- W2009644676 cites W887882564 @default.
- W2009644676 cites W95023332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285328334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344319105 @default.
- W2009644676 cites W2395103067 @default.
- W2009644676 cites W3067052264 @default.
- W2009644676 doi "https://doi.org/10.5720/kjcn.2011.16.2.183" @default.
- W2009644676 hasPublicationYear "2011" @default.
- W2009644676 type Work @default.
- W2009644676 sameAs 2009644676 @default.
- W2009644676 citedByCount "7" @default.
- W2009644676 countsByYear W20096446762012 @default.
- W2009644676 countsByYear W20096446762014 @default.
- W2009644676 countsByYear W20096446762015 @default.
- W2009644676 countsByYear W20096446762016 @default.
- W2009644676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009644676 hasAuthorship W2009644676A5033969154 @default.
- W2009644676 hasAuthorship W2009644676A5064829479 @default.
- W2009644676 hasAuthorship W2009644676A5068100868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2776890026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2781258526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291006989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3017748141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3077213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36289849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4467024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511355011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74909509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 C99454951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126322002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14402440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1574496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2776890026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2781258526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291006989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3017748141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30772137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36289849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4467024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511355011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71924100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74909509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77805123 @default.
- W2009644676 hasConceptScore W2009644676C99454951 @default.
- W2009644676 hasLocation W20096446761 @default.
- W2009644676 hasOpenAccess W2009644676 @default.
- W2009644676 hasPrimaryLocation W20096446761 @default.
- W2009644676 isParatext "false" @default.
- W2009644676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009644676 magId "2009644676" @default.
- W2009644676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