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068862646> ?p ?o ?g. }
Showing items 1 to 56 of
56
with 100 items per page.
- W2068862646 endingPage "153" @default.
- W2068862646 startingPage "153" @default.
- W2068862646 abstract "장 용종 및 암의 불완전한 제거로 인한 잔존 재발암 등이 제시된다. 최근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서 중간암과 관련된 위험 인자는 나이, 인 종, 동반질환, 게실증, 상피내암의 병력 등이 있으며 85세 이상일 경 우 발생 빈도가 낮았다. 1기의 종양이 더 많았으며 위치는 근위부, 즉 우측 대장이 많았고 이전에 용종절제술을 받았던 환자나 용종절제 경 험이 적은 내시경 의사의 경우에서도 많이 발생하였다. 중간암의 발생이 불완전한 검사 및 용종절제, 빨리 자라나는 성향 을 띄는 종양이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서 중간암과 산발 암을 비교하였는데 5.4%의 환자가 중간암이었고 선별 내시경검사와 의 평균 간격은 33.8개월이었다. 27%의 환자에서 이전에 불완전한 용종절제를 시행했던 대장구역에서 중간암이 발생하였으며 대장내시 경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에 대해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 었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공격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TNM 병기나 조 직학적 분화도, CEA 등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런 중간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인 대상의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번 연구에 서는 대장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서의 중간암의 유병률과 특징을 조사하여 중간암의 예측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기준 대장내시경 5 년 이내에 발생한 것을 중간암으로 정의하였고 482명을 대상으로 전 화 인터뷰로 질문하여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하였다. 완전한 맹장 삽 관 유무, 이전 대장내시경 시기, 용종절제술 유무, 대장 정결 방법, 내 시경검사를 받은 병원을 조사하였고 그중 30명(6.2%)에서 중간암이 발견되어 임상적 특징과 병리학적 특징을 나머지 환자군과 비교 분석 하였다. 성별, CEA, 맹장 삽관율, 평균 크기, 조직학적 분화도와 병기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중간암군에서 59세, 산발암군에서 65세로 중간암에서 유의하게 나이가 더 어렸고 암의 위치는 우측 대장암이 중간암군에서 67.9%, 산발암군에서 22.2%로 중간암군에서 산발암군보다 우측 대장암의 발생률이 높았다. 이 연구 는 중간암의 발생 빈도와, 우측 대장암의 발생률에서 이전의 다른 연 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며,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 대장암이 예 Development and Predictor of Interval Colorectal Cancer" @default.
- W2068862646 created "2016-06-24" @default.
- W2068862646 creator A5066111479 @default.
- W2068862646 date "2013-01-01" @default.
- W2068862646 modified "2023-10-02" @default.
- W2068862646 title "Development and Predictor of Interval Colorectal Cancer" @default.
- W2068862646 cites W1984602323 @default.
- W2068862646 cites W2110859373 @default.
- W2068862646 cites W2169210449 @default.
- W2068862646 cites W2169536330 @default.
- W2068862646 doi "https://doi.org/10.5217/ir.2013.11.3.153" @default.
- W2068862646 hasPublicationYear "2013" @default.
- W2068862646 type Work @default.
- W2068862646 sameAs 2068862646 @default.
- W2068862646 citedByCount "1" @default.
- W2068862646 countsByYear W20688626462017 @default.
- W2068862646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068862646 hasAuthorship W2068862646A5066111479 @default.
- W2068862646 hasBestOaLocation W20688626461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114614502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121608353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143998085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2778067643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526805850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114614502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121608353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126322002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143998085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2778067643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33923547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526805850 @default.
- W2068862646 hasConceptScore W2068862646C71924100 @default.
- W2068862646 hasIssue "3" @default.
- W2068862646 hasLocation W20688626461 @default.
- W2068862646 hasOpenAccess W2068862646 @default.
- W2068862646 hasPrimaryLocation W20688626461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075214100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364051953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365364931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381416288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388808113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392730113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418638721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2949011490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3004259476 @default.
- W2068862646 hasRelatedWork W3039284339 @default.
- W2068862646 hasVolume "11" @default.
- W2068862646 isParatext "false" @default.
- W2068862646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068862646 magId "2068862646" @default.
- W2068862646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