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108784169> ?p ?o ?g. }
Showing items 1 to 62 of
62
with 100 items per page.
- W2108784169 endingPage "186" @default.
- W2108784169 startingPage "186" @default.
- W2108784169 abstract "유방암은 여성에게 신체적 변형뿐 아니라 생명의 위협 까지 가져오는 매우 공포스러운 질병이며 우리나라의 경 우 최근에 이르러 발생률이 매우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1) 미국의 경우 여성이 일생 동안 8명당 1명의 비율로 유방암이 발생한다고 한 다.(2) 유방암의 치료 방법은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왔지 만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에 발견하여 조기 치료하는 것 이다. 초기에 발견하는 방법으로 유방촬영, 초음파검사, 신체검사, 자기공명촬영술 및 컴퓨터단층촬영술 등 여러 가지 진단도구를 이용한 방법이 있으나, 가장 확실한 방 법은 조직 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조직학적 확진을 시 행함으로써 차후에 진단적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조직 진단 방법으로는 수술적 절제 생검술에서 세 침흡입세포검사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경제적, 신체 적, 미용적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며 진단의 정확성도 수 술적 절제술에 비교하여 떨어지지 않는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 맘모톰 조직검사(맘모톰 조직검사) 방법이 최근에 널리 소개되고 있다.(3-5) 1977년 정방위 유방조직검사가 소개된 이후로,(6) 음압 을 이용한 정방위 침생검이 1988년 이후 널리 시행되어 왔으며,(7) 좀더 발달된 방법으로 초음파유도하 맘모톰을 이용한 유방조직검사가 시행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유방 내 병변을 완전히 제거하며, 수술적 절제생검술과 같은 결과 및 병변제거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8,9)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이 널리 증가하고 있는 맘모톰 유방조직검사의 임상적 분석과 특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루브인 8 Gauge (G) 및 11G의 비교를 통하여, 제거하는 조직량이 11G에 비하여 3배인 8G의 유용성 및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평가를 하여 보고자 하며, 6개월 추적 관찰을 통하여 최초 시술 시 종양 병변의 완 전 제거와 추적 관찰 후 변화를 보고자 한다." @default.
- W2108784169 created "2016-06-24" @default.
- W2108784169 creator A5006473082 @default.
- W2108784169 creator A5036811221 @default.
- W2108784169 creator A5047393439 @default.
- W2108784169 creator A5053518391 @default.
- W2108784169 date "2003-01-01" @default.
- W2108784169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108784169 title "Clinic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mmotome Biopsy between 8G and 11G Probes" @default.
- W2108784169 cites W1979495855 @default.
- W2108784169 cites W1990761331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17803347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31606652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36188477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37882442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52132565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067681473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103172926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110549828 @default.
- W2108784169 cites W2517922721 @default.
- W2108784169 doi "https://doi.org/10.4048/jkbcs.2003.6.3.186" @default.
- W2108784169 hasPublicationYear "2003" @default.
- W2108784169 type Work @default.
- W2108784169 sameAs 2108784169 @default.
- W2108784169 citedByCount "3" @default.
- W2108784169 countsByYear W21087841692015 @default.
- W210878416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108784169 hasAuthorship W2108784169A5006473082 @default.
- W2108784169 hasAuthorship W2108784169A5036811221 @default.
- W2108784169 hasAuthorship W2108784169A5047393439 @default.
- W2108784169 hasAuthorship W2108784169A5053518391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 C121608353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 C2779294588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 C530470458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Score W2108784169C121608353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Score W2108784169C126322002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Score W2108784169C2779294588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Score W2108784169C530470458 @default.
- W2108784169 hasConceptScore W2108784169C71924100 @default.
- W2108784169 hasIssue "3" @default.
- W2108784169 hasLocation W21087841691 @default.
- W2108784169 hasOpenAccess W2108784169 @default.
- W2108784169 hasPrimaryLocation W21087841691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47889837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56059465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57392414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82874251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89638608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89717084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394179709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2108784169 hasRelatedWork W3029921302 @default.
- W2108784169 hasVolume "6" @default.
- W2108784169 isParatext "false" @default.
- W210878416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108784169 magId "2108784169" @default.
- W210878416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