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155019713> ?p ?o ?g. }
Showing items 1 to 29 of
29
with 100 items per page.
- W2155019713 endingPage "28" @default.
- W2155019713 startingPage "17" @default.
- W2155019713 abstract "최신 컴퓨터 시스템의 새로운 병목 현상이 메모리 접근에서 발생하고 있다. 메모리의 접근 속도를 줄이기 위해 캐시 메모리가 도입되었지만, 캐시 메모리는 원하는 데이타가 캐시에 옮겨져 있어야 메모리 접근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T 트리를 개선한 CST 트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CST 트리는 범위 검색 시, 불필요한 노드를 검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캐시 효율적인 CST 트리의 장점을 가지며, 범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 리스트로 각 노드를 연결한 CST + 트리를 제안하였으며, CST 및 CSB + 에 비해 4~10배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또한, 메인 메모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장애 시, 빠른 데이타베이스 복구를 위해 인덱스의 빠른 재 구축은 전체 데이타 복구 성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병렬 삽입 기법을 제안하였다. 병렬 삽입은 노드 분할 오버헤드가 없으며, 데이타 복구 단계와 인덱스 구축 단계를 병렬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병렬 삽입은 순차 삽입 및 일괄 삽입에 비해 2~11배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default.
- W2155019713 created "2016-06-24" @default.
- W2155019713 creator A5009084505 @default.
- W2155019713 creator A5041112689 @default.
- W2155019713 creator A5076926266 @default.
- W2155019713 date "2008-02-01" @default.
- W2155019713 modified "2023-09-28" @default.
- W2155019713 title "범위 검색을 위한 CST + 트리 인덱스 구조" @default.
- W2155019713 hasPublicationYear "2008" @default.
- W2155019713 type Work @default.
- W2155019713 sameAs 2155019713 @default.
- W2155019713 citedByCount "0" @default.
- W215501971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155019713 hasAuthorship W2155019713A5009084505 @default.
- W2155019713 hasAuthorship W2155019713A5041112689 @default.
- W2155019713 hasAuthorship W2155019713A5076926266 @default.
- W2155019713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155019713 hasConceptScore W2155019713C71924100 @default.
- W2155019713 hasIssue "1" @default.
- W2155019713 hasLocation W21550197131 @default.
- W2155019713 hasOpenAccess W2155019713 @default.
- W2155019713 hasPrimaryLocation W21550197131 @default.
- W2155019713 hasVolume "35" @default.
- W215501971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15501971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155019713 magId "2155019713" @default.
- W215501971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