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197232801> ?p ?o ?g. }
Showing items 1 to 57 of
57
with 100 items per page.
- W2197232801 endingPage "205" @default.
- W2197232801 startingPage "197" @default.
- W2197232801 abstract "신경병성 동통은 진단과 치료가 어려워 환자와 사회전반에 부담이 큰 질병이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 보고는 많지 않다. 국내 신경병성 동통 환자의 유병률 연구에 이어 시행된 본 연구에서는 진료일수, 치료비, 수술 및 약제 사용 등의 치료 양태를 조사하고 신경병성 동통의 치료 영역에서 치과의 비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신경병성 동통 질환(삼차신경통, 당뇨병성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비정형 안면통, 설인신경통, 비정형 치통, 설통)을 주상병으로 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병성 신경통이 가장 많이 내원하여 치료받았고, 환자 수는 포진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당뇨병성 신경통의 순서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로 각 진료과의 내원일수는 전반적으로 신경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가 주로 많았는데, 특별히 증상발현 부위가 진료과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과의 내원일수가 높았다. 명세서 건당 치료비를 보면 마취과, 응급의학과가 전반적으로 많았으며, 재활의학과, 가정의학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치과는 삼차신경통, 비정형 안면통, 비정형 치통에서 다소 높은 치료비를 보였다. 많이 사용된 외과적 술식을 살펴보면 포진후 신경통과 당뇨병성 신경통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교감신경총 및 신경절 차단술, 척수신경말초지 차단술, 뇌신경 및 뇌신경말초 차단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약제는 비정형 치통과 설통의 경우 진통소염해열제가 절대적으로 많은 반면, 그 외 질환에서는 항전간제, 진통소염해열제, 정신신경용제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과의 비중이 높은 신경병성 통증은 비정형 치통, 삼차신경통, 비정형 안면통이며, 환자의 수와 치료비의 전체적인 크기로 볼 때에는 삼차신경통의 규모가 치과에서는 가장 크다. 그러나 신경병성 동통 분야에서 여전히 구강내과를 포함한 치과의 역할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치과전문의 제도 시행과 더불어 대국민 홍보와 적극적인 치료 참여를 통해 신경병성 동통 질환, 특히 삼차신경통, 비정형 치통, 비정형 안면통에 대한 치과의 역할과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default.
- W2197232801 created "2016-06-24" @default.
- W2197232801 creator A5019527105 @default.
- W2197232801 creator A5023343682 @default.
- W2197232801 creator A5029669420 @default.
- W2197232801 creator A5037826512 @default.
- W2197232801 date "2009-06-01" @default.
- W2197232801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197232801 title "Treatment Pattern of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in Korea" @default.
- W2197232801 hasPublicationYear "2009" @default.
- W2197232801 type Work @default.
- W2197232801 sameAs 2197232801 @default.
- W2197232801 citedByCount "0" @default.
- W219723280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197232801 hasAuthorship W2197232801A5019527105 @default.
- W2197232801 hasAuthorship W2197232801A5023343682 @default.
- W2197232801 hasAuthorship W2197232801A5029669420 @default.
- W2197232801 hasAuthorship W2197232801A5037826512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 C2777107010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 C42219234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 C556039675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Score W2197232801C2777107010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Score W2197232801C42219234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Score W2197232801C556039675 @default.
- W2197232801 hasConceptScore W2197232801C71924100 @default.
- W2197232801 hasIssue "2" @default.
- W2197232801 hasLocation W21972328011 @default.
- W2197232801 hasOpenAccess W2197232801 @default.
- W2197232801 hasPrimaryLocation W21972328011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1551775788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1780956888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043064861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060710903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071613947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088371557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114073849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308699307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475647136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482846513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483243993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499958503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593768554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596714330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911293505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911687824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2955285511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3049171345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3163194407 @default.
- W2197232801 hasRelatedWork W3177725145 @default.
- W2197232801 hasVolume "34" @default.
- W2197232801 isParatext "false" @default.
- W219723280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197232801 magId "2197232801" @default.
- W219723280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