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226032809> ?p ?o ?g. }
Showing items 1 to 27 of
27
with 100 items per page.
- W2226032809 endingPage "256" @default.
- W2226032809 startingPage "239" @default.
- W2226032809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고||| 계열별 및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조사는 과학적 지식의 발달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협의의 역할|||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발명적?창의적 측면||| 과학의 이론 의존적 탐구|||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5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졌다.연구 결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의 총점은 남학생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아성별 차이가 나타났으나(p 0.05). 하위영역별 결과를살펴보면||| 과학적 지식의 발달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협의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 발명적 창의적 측면의 이해도|||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이해도는 남학생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반면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에 대한 이해도는 인문계열학과 학생들의 점수가 자연계열학과 학생들보다 높아 계열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전공과 성별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대한 교수 학습의 방향과 더불어 중등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default.
- W2226032809 created "2016-06-24" @default.
- W2226032809 creator A5016494140 @default.
- W2226032809 creator A5065858063 @default.
- W2226032809 date "2013-12-31" @default.
- W2226032809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226032809 title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default.
- W2226032809 hasPublicationYear "2013" @default.
- W2226032809 type Work @default.
- W2226032809 sameAs 2226032809 @default.
- W2226032809 citedByCount "0" @default.
- W222603280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226032809 hasAuthorship W2226032809A5016494140 @default.
- W2226032809 hasAuthorship W2226032809A5065858063 @default.
- W2226032809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226032809 hasConceptScore W2226032809C71924100 @default.
- W2226032809 hasIssue "6" @default.
- W2226032809 hasLocation W22260328091 @default.
- W2226032809 hasOpenAccess W2226032809 @default.
- W2226032809 hasPrimaryLocation W22260328091 @default.
- W2226032809 hasVolume "13" @default.
- W2226032809 isParatext "false" @default.
- W222603280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226032809 magId "2226032809" @default.
- W222603280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