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268172009> ?p ?o ?g. }
Showing items 1 to 43 of
43
with 100 items per page.
- W2268172009 endingPage "192" @default.
- W2268172009 startingPage "161" @default.
- W2268172009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경성 신정유곽의 건설 과정과 입지조건, 유곽의 번성에 따른 신정유곽의 확대 양상, 그리고 조선인 유곽 건설과 신정유곽과의 관계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신정유곽은 1904년 10월 1일 영업을 시작했다. 경성에 유곽이 건설된 것은 1904년 2월 시작된 러일전쟁으로 인한 일본인 남성 인구 증가, 재경성 거류민단의 지속적인 수입원 마련 등이 주된 이유였다. 신정에 유곽이 만들어진 이유는 세 가지이다. 신정에는 유곽 건설에 적합한 공지가 있었고, 신정은 유곽 건설 당시 일본인 거류지 외곽에 위치하였으며, 능선과 하천 등 자연지형으로 주변과 분리되어 있었다. 그리고 주변에 군대가 있었고 조선인과 부딪칠 장애 요소가 적었다.BR 신정유곽 건설 이후 유곽이 번성하였다. 이는 민족을 가리지 않았으며, 유곽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성매매 관련 업자나 예창기의 수도 늘어났다. 따라서 신정유곽은 상당한 이익을 거두었다. 유곽이 번성하면서 신정유곽 또한 점차 내부가 확장되었다. 처음에는 대좌부의 수가 10곳 정도에 불과했지만, 1920년대에는 40곳까지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신정유곽의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대좌부가 늘어나면서 대좌부를 수용할 대지를 정비해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필지구획이 활발히 진행되었다.BR 한편, 신정유곽이 건설된 이후로 조선인 창기의 수도 늘어났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1917년부터 조선인 창기를 한곳으로 이전시키기 시작했고, 1919년 서사헌정과 병목정 일대에 조선인 유곽이 만들어졌다. 1917년부터 이러한 조치가 시작된 이유는 1915년 물산공진회와 1916년 조선 상주사단 창설로 일본인 남성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었다.BR 조선인 유곽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사헌정의 경우 신정의 동쪽 경계와 맞닿아 있어 신정유곽과 조선인 유곽의 중간지대이거나 신정유곽의 영업지역이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병목정은 조선인이 주인인 대좌부만 존재했던 지역으로, 신정유곽이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반면 병목정은 갑작스럽게 조성되면서 대좌부가 좁은 지역에 밀집되었다.BR 이렇게 만들어진 조선인 유곽은 신정유곽 내부가 아닌 신정유곽 주변에 건설되었는데, 이는 민족 구분이라는 변수가 유곽 입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두 유곽의 이러한 구분은 입지조건뿐만 아니라 당시 유곽을 찾는 사람들의 심리상으로도 나타났다. 일제시기 유곽을 다룬 소설을 보면 신정유곽과 조선인 유곽은 당시 사람들에게 이중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공간적으로 구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BR 창기업과 유곽은 일제시기 경성 사회에서 양날의 검이었다. 기독교 세력 등이 제기한 폐창운동, 시가지 확장에 따른 유곽 이전문제, 조선인 신문에서 제기되는 창기들의 애처로운 삶의 문제 등 수많은 비판에 직면하는 한편으로 서두에서 본 것처럼 조선인의 삶 속에 정착하여 새로운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에 없었던 유곽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유곽은 경성이라는 도시공간의 일부를 변화시켰으며, 나아가 조선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다." @default.
- W2268172009 created "2016-06-24" @default.
- W2268172009 creator A5090942343 @default.
- W2268172009 date "2015-10-31" @default.
- W2268172009 modified "2023-09-26" @default.
- W2268172009 title "The Prosperity of Prostitution in Gyeongseo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Joseon red light district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 Regime in Korea" @default.
- W2268172009 doi "https://doi.org/10.22345/kjuh.2015.10.14.161" @default.
- W2268172009 hasPublicationYear "2015" @default.
- W2268172009 type Work @default.
- W2268172009 sameAs 2268172009 @default.
- W2268172009 citedByCount "0" @default.
- W226817200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268172009 hasAuthorship W2268172009A5090942343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 C2776554220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Score W2268172009C17744445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Score W2268172009C195244886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Score W2268172009C199539241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Score W2268172009C2776554220 @default.
- W2268172009 hasConceptScore W2268172009C95457728 @default.
- W2268172009 hasLocation W22681720091 @default.
- W2268172009 hasOpenAccess W2268172009 @default.
- W2268172009 hasPrimaryLocation W22681720091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143941567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298956493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362802722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366117640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374439373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393048792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393292870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3183981820 @default.
- W2268172009 hasRelatedWork W3033627841 @default.
- W2268172009 hasVolume "14" @default.
- W2268172009 isParatext "false" @default.
- W226817200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268172009 magId "2268172009" @default.
- W226817200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