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270147683> ?p ?o ?g. }
Showing items 1 to 37 of
37
with 100 items per page.
- W2270147683 endingPage "205" @default.
- W2270147683 startingPage "195" @default.
- W2270147683 abstract "민감성이란 불안의 신호나 증상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제안한 Reiss에 따르면 불안 증상이 해로운 결과를 가져온다는 믿음 때문에 그 신호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줄여서 `불안에 대한 공포`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우리가 흔히 겪을 수 있는 보편적인 공포를 증폭시키는 원천적 공포의 하나이며, 이와 일치하게 민감성 개념의 핵심은 신호의 증폭 요소라는 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신호의 증폭 기제는 세 가지 이상의 하위 유형으로 나눠지되, 이들이 다시 하나의 일반 요인으로 수렴되는 위계적인 구조를 이룬다. 그 내용을 보면, 신호의 출처에 따라 신체적 영역,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민감성 등으로 증폭의 기제가 세분된다. 한편, 민감성의 존재 근거에 대한 도전으로 `특질 불안과 다르지 않다`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는데, 이 논쟁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적 설명으로서 특질 불안의 작용을 배제하는 것이 숙제로 따라 다닌다. 이런 도전에도 불구하고, 신호의 내적 증폭 장치로서 개념적 유용성은 공황 장애를 설명하는 데서 발휘되고 있다. 비임상 집단이나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모두에서 민감성이 공황 경험과 공변하는 개인차 변인임이 보고되고, 종단적인 연구를 통해 공황 장애에 대한 중요한 병전 위험 요인임이 밝혀지고 있는 등 민감성의 인과적 작용이 일관되게 입증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쟁점, 과제, 관심사는 곧 향후 연구의 방향과 지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의 연구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민감성이 공황 장애에서 차별적인 상승을 보인다는 기초적 발견을 반복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해서, 순수한 증상의 빈도와 민감성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일, 민감성의 하위 기제를 세분화하여 공황 발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밝히는 일, 그리고 기존의 민감성 지표를 확장하고 외부 준거에 비추어 그 타당성을 입증하는 연구 등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default.
- W2270147683 created "2016-06-24" @default.
- W2270147683 creator A5059432110 @default.
- W2270147683 creator A5074192224 @default.
- W2270147683 creator A5091396072 @default.
- W2270147683 date "2001-02-01" @default.
- W2270147683 modified "2023-09-28" @default.
- W2270147683 title "'불안 민간감성' 의 개념과 작용에 대한 개관" @default.
- W2270147683 hasPublicationYear "2001" @default.
- W2270147683 type Work @default.
- W2270147683 sameAs 2270147683 @default.
- W2270147683 citedByCount "0" @default.
- W227014768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270147683 hasAuthorship W2270147683A5059432110 @default.
- W2270147683 hasAuthorship W2270147683A5074192224 @default.
- W2270147683 hasAuthorship W2270147683A5091396072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 C11171543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 C118487528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 C556039675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Score W2270147683C11171543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Score W2270147683C118487528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Score W2270147683C15744967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Score W2270147683C556039675 @default.
- W2270147683 hasConceptScore W2270147683C71924100 @default.
- W2270147683 hasIssue "1" @default.
- W2270147683 hasLocation W22701476831 @default.
- W2270147683 hasOpenAccess W2270147683 @default.
- W2270147683 hasPrimaryLocation W22701476831 @default.
- W2270147683 hasVolume "20" @default.
- W227014768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27014768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270147683 magId "2270147683" @default.
- W227014768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