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273178093> ?p ?o ?g. }
Showing items 1 to 24 of
24
with 100 items per page.
- W2273178093 endingPage "104" @default.
- W2273178093 startingPage "93" @default.
- W2273178093 abstract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대한 현존 모형은 점비교 모형과 밀도비교 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 두 모형은 모두 공간적 영역의 정보인 흑백도를 바탕으로 하는 단일채널 모형이다.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은 대칭축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한 정보가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예, Barlow와 Reeves, 1979)을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대칭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정보의 상대적인 효과를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에 가중치의 형태로 포함시켜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실험 1에서 Barlow와 Reeves의 연구가 재현되고 그 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하여 가중치를 구하였다. 그러나 실험 2에서 다른 상황에서의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수정된 가중치 밀도비교 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므로서, 인간 시각체계의 대칭성 지각 모형은 단일채널 공간 모형이 아니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단일채널 공간 모형과는 달리 공간빈도 영역에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채널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다중채널 모형이 대칭성 지각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되었다." @default.
- W2273178093 created "2016-06-24" @default.
- W2273178093 creator A5074448345 @default.
- W2273178093 date "1992-06-01" @default.
- W2273178093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273178093 title "단일채널 공간 모형은 대칭성 지각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default.
- W2273178093 hasPublicationYear "1992" @default.
- W2273178093 type Work @default.
- W2273178093 sameAs 2273178093 @default.
- W2273178093 citedByCount "0" @default.
- W227317809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273178093 hasAuthorship W2273178093A5074448345 @default.
- W2273178093 hasConcept C127313418 @default.
- W2273178093 hasConceptScore W2273178093C127313418 @default.
- W2273178093 hasLocation W22731780931 @default.
- W2273178093 hasOpenAccess W2273178093 @default.
- W2273178093 hasPrimaryLocation W22731780931 @default.
- W2273178093 hasVolume "4" @default.
- W227317809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27317809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273178093 magId "2273178093" @default.
- W227317809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