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321849230> ?p ?o ?g. }
Showing items 1 to 55 of
55
with 100 items per page.
- W2321849230 endingPage "258" @default.
- W2321849230 startingPage "241" @default.
- W2321849230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정신과적 문제를 경험적이고 통계적인 절차에 따라 외현화, 내재화, 혼재된 문제를 가진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로샤 반응을 비교함으로써 집단 간 심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 특성이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행동문제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1에서는 각 집단의 로샤 반응의 특성을 비교해 심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고찰한 결과, 핵심영역에서 R, EB비율, 정서영역에서 색채반응 총합, 자기지각영역에서 Mor반응, 대인지각영역에서 AG반응, 중재영역에서 X+%, 특수지표에서는 SCZI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문제 2에서는 K-CBCL하위변인과 로샤 반응과의 관계를 상관 분석하여 심리적 특성과 행동문제와의 관련성을 본 결과, 내재화 문제는 AG반응, 소외지표, 색채반응 총합, R과 유의한 역상관 보였고, 외현화 문제는 Mor 반응, P, Mp반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 내재화 문제는 반응수가 적고, 내적 사고활동을 통해 욕구를 해결하며, 자기 손상감이 많고, 관습적인 반응을 보이며, 공격성이 적은 한편, 감정을 표출하는 경향성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외현화 문제는 공격성이 높고, 감정표출을 통해 욕구를 해결하며, 사고나 인지왜곡 같은 인지 오류가 많고, 손상감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 혼재문제의 경우, 심리적 특성은 내재화 문제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행동화된 문제를 보인다는 점에서 내적 갈등을 외현화된 방어기제를 사용해 대처할 가능성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내재화 문제의 경우 내면의 손상감, 낮은 자기 존중감, 심리적 고통감을 경감시키고, 분노나 적개심을 끌어내어 외부로 표현할 수 있도록 놀이치료, 심리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외현화 문제는 계획능력과 통제력 및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행동의 결과를 인식시키는 인지행동치료, 행동수정과 같은 치료적 개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함의가 있다." @default.
- W2321849230 created "2016-06-24" @default.
- W2321849230 creator A5018126851 @default.
- W2321849230 creator A5045966891 @default.
- W2321849230 creator A5058894510 @default.
- W2321849230 creator A5091329536 @default.
- W2321849230 date "2010-02-01" @default.
- W2321849230 modified "2023-09-25" @default.
- W2321849230 title "An Analy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esponses: Focusing on Children with Internalizing Problems vs. those with Externalizing Problems" @default.
- W2321849230 cites W183184210 @default.
- W2321849230 cites W2013386776 @default.
- W2321849230 cites W2028113601 @default.
- W2321849230 cites W2033362488 @default.
- W2321849230 cites W2145290484 @default.
- W2321849230 doi "https://doi.org/10.15842/kjcp.2010.29.1.014" @default.
- W2321849230 hasPublicationYear "2010" @default.
- W2321849230 type Work @default.
- W2321849230 sameAs 2321849230 @default.
- W2321849230 citedByCount "2" @default.
- W2321849230 countsByYear W23218492302016 @default.
- W2321849230 countsByYear W23218492302020 @default.
- W23218492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321849230 hasAuthorship W2321849230A5018126851 @default.
- W2321849230 hasAuthorship W2321849230A5045966891 @default.
- W2321849230 hasAuthorship W2321849230A5058894510 @default.
- W2321849230 hasAuthorship W2321849230A5091329536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 C138496976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 C2779137860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 C70410870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Score W2321849230C138496976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Score W2321849230C15744967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Score W2321849230C2779137860 @default.
- W2321849230 hasConceptScore W2321849230C70410870 @default.
- W2321849230 hasIssue "1" @default.
- W2321849230 hasLocation W23218492301 @default.
- W2321849230 hasOpenAccess W2321849230 @default.
- W2321849230 hasPrimaryLocation W23218492301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009159603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016713905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030000401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059552494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064484569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108762309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171809591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2612001269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3092201610 @default.
- W2321849230 hasRelatedWork W4319035769 @default.
- W2321849230 hasVolume "29" @default.
- W23218492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23218492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321849230 magId "2321849230" @default.
- W23218492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