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328666003> ?p ?o ?g. }
Showing items 1 to 61 of
61
with 100 items per page.
- W2328666003 endingPage "169" @default.
- W2328666003 startingPage "169" @default.
- W2328666003 abstract "서구의 근대사상은 동양사회에 대한 원초적 타자(other)로서 서구사회, 그 중에서도 특히 서구 근대사회를 진보와 발전의 준거로 삼았다. 그 결과 근대 사상에서의 동양사회 논의는 주로 정체 와 후진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사회학적 동양사회론 역시 근대사상에 스며있던 오리엔탈리즘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사회학자 베버는 동양의 전통사회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학자였지만 그의 작업 역시 오류와 왜곡이 없지 않았다. 그는 동양의 향촌을 씨족자치 아래 주술과 전통의 테두리 안에 묶여 있던 사적私的 공간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 사적 성격이야말로 정치 경제적 돌파의 주요한 추진력으로서 합리주의의 진전을 가로막은 결정적 원인이라고 지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베버의 명제에 이론異論을 제기하며, 그 근거로서 조선시대, 특히 사림士林이 주도권을 행사한 조선중기 이후 향촌의 사례를 고찰한다. 조선의 향촌을 지배했던 사림들은 혈연관계로 환원되지 않는 일종의 사회적 연대세력이었다. 동시에 그들은 성리학으로 무장한 종교(이념)적 근본주의 세력이었다. 그들이 주체가 된 향촌의 자치는 자연발생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중앙권력과의 투쟁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만들어간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향촌의 자치를 유지했던 기본적인 힘은 베버의 말대로 전통과 주술이 아니라 성리학적 공공 원리에 준거한 사림의 합리적 제도적 기획(project)에서 나왔다. 요컨대 조선시대의 향촌은 베버의 진단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공공적 자치의 성격을 지녔으며, 또 그것을 강력히 지향한 것이었다." @default.
- W2328666003 created "2016-06-24" @default.
- W2328666003 creator A5005181909 @default.
- W2328666003 date "2012-11-30" @default.
- W2328666003 modified "2023-09-27" @default.
- W2328666003 title "Orientalism and Public Sense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default.
- W2328666003 doi "https://doi.org/10.17207/jstc.2012.11.26.169" @default.
- W2328666003 hasPublicationYear "2012" @default.
- W2328666003 type Work @default.
- W2328666003 sameAs 2328666003 @default.
- W2328666003 citedByCount "0" @default.
- W232866600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328666003 hasAuthorship W2328666003A5005181909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07038049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24667770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510816226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07038049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24952713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38885662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42362112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44024400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17744445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24667770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510816226 @default.
- W2328666003 hasConceptScore W2328666003C95457728 @default.
- W2328666003 hasLocation W23286660031 @default.
- W2328666003 hasOpenAccess W2328666003 @default.
- W2328666003 hasPrimaryLocation W23286660031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1540113597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1543364798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1561507224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1640664270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1850080863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067826371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071250566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115718388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158436607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474558861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51164674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737074767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899285345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2989791618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3098772911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3127147877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3148593680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3187074031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627635529 @default.
- W2328666003 hasRelatedWork W787876852 @default.
- W2328666003 hasVolume "26" @default.
- W232866600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32866600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328666003 magId "2328666003" @default.
- W232866600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