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477453650> ?p ?o ?g. }
Showing items 1 to 25 of
25
with 100 items per page.
- W2477453650 endingPage "45" @default.
- W2477453650 startingPage "21" @default.
- W2477453650 abstract "「심청전」과 관련을 맺고 있는 설화 중에는 이 작품의 형성에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끼친 배경 설화가 있다. 배경 설화에는 태몽(胎夢) 설화, 효행(孝行) 설화,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 재생(再生) 설화, 개안(開眼) 설화가 있다. 「심청전」의 배경 설화 중 「관음사 연기 설화」는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인데, 「심청전」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심청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녀의 효행, 죽음과 재생을 이야기하는 ‘심청 설화’에는 백령도 지방에 전해 오는 「심청 전설」과 동해안 지방에 전해 오는 「심청굿 무가」가 있다. 「심청굿 무가」는 활자본 「심청전」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 것이다. 백령도 지역의 「심청 전설」은 「심청전」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전설이다.「심청전」의 이본과 판소리 「심청가」를 보면, 심청이 나서 자란 곳은 황주 도화동이다. 그리고 심청이 죽었다가 살아난 곳은 장산곶과 백령도 사이에 있는 물살이 세기로 이름난 ‘인당수’이다. 그러므로 「심청전」의 배경이 된 곳은 황해도 황주에서 장산곶과 인당수를 지나 백령도 연봉, 연화리를 잇는 지역이 된다." @default.
- W2477453650 created "2016-08-23" @default.
- W2477453650 creator A5076034134 @default.
- W2477453650 date "2007-12-30" @default.
- W2477453650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477453650 title "「심청전」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 @default.
- W2477453650 hasPublicationYear "2007" @default.
- W2477453650 type Work @default.
- W2477453650 sameAs 2477453650 @default.
- W2477453650 citedByCount "0" @default.
- W247745365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477453650 hasAuthorship W2477453650A5076034134 @default.
- W2477453650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477453650 hasConceptScore W2477453650C41008148 @default.
- W2477453650 hasIssue "4" @default.
- W2477453650 hasLocation W24774536501 @default.
- W2477453650 hasOpenAccess W2477453650 @default.
- W2477453650 hasPrimaryLocation W24774536501 @default.
- W2477453650 hasVolume "23" @default.
- W2477453650 isParatext "false" @default.
- W247745365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477453650 magId "2477453650" @default.
- W247745365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