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483081230> ?p ?o ?g. }
Showing items 1 to 31 of
31
with 100 items per page.
- W2483081230 endingPage "42" @default.
- W2483081230 startingPage "31" @default.
- W2483081230 abstract "개인이 처해있는 환경과 행동의 변화 - 기계 기능의 진보로 인한 사회의 진보 - 정보 고속망 구축에 따른 인간의 생활방식의 진화와 그에 따른 공간의 구조와 개념의 변화로 인하여, 현재 이후 부터의 공간은 이제까지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주관적 아름다움에 지극히 의존하던 공간 디자인 방식과는 전혀 다른 물리적, 생리적 관점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삶의 주요 요소인 오피스 공간의 연구를 1. 현대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통섭 (consilience)과 융합 (convergence)의 학문이자, 과학인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에서의 공간 디자인의 접근 가능성을 검토하고 2. 상호 커뮤니케이션상의 오피스 공간에 대하여 고찰 3. 자연계의 가장 합리적 사회인 초 개체 개미사회 구조를 대입하여 인간의 네트워크 오피스 환경의 미래형에 대한 디자인 개념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default.
- W2483081230 created "2016-08-23" @default.
- W2483081230 creator A5039030172 @default.
- W2483081230 date "2010-03-01" @default.
- W2483081230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483081230 title "인지과학 패러다임을 통한 오피스 공간에 관한 고찰 연구" @default.
- W2483081230 hasPublicationYear "2010" @default.
- W2483081230 type Work @default.
- W2483081230 sameAs 2483081230 @default.
- W2483081230 citedByCount "0" @default.
- W24830812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483081230 hasAuthorship W2483081230A5039030172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 C111472728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 C2780720250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Score W2483081230C111472728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Score W2483081230C138885662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Score W2483081230C2780720250 @default.
- W2483081230 hasConceptScore W2483081230C41008148 @default.
- W2483081230 hasIssue "1" @default.
- W2483081230 hasLocation W24830812301 @default.
- W2483081230 hasOpenAccess W2483081230 @default.
- W2483081230 hasPrimaryLocation W24830812301 @default.
- W2483081230 hasVolume "11" @default.
- W24830812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24830812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483081230 magId "2483081230" @default.
- W24830812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