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593238097> ?p ?o ?g. }
Showing items 1 to 65 of
65
with 100 items per page.
- W2593238097 endingPage "51" @default.
- W2593238097 startingPage "42" @default.
- W2593238097 abstract "배경/목적: 알코올간경변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임상적 특징을 종합하여 진단하게 되지만 진단적 정확도가 낮고, 특히 간내 지방 변성으로 인하여 방사선 영상 진단이 용이하지 않다. Transient elastography(Fibroscan(R), Echosens, France)는 간조직의 탄성률을 측정하여 간섬유화의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추정하는 장비이다. 최근 여러 문헌에서 transient elastography를 이용한 간탄성률 측정이 바이러스간경변의 섬유화의 정도를 감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알코올간경변증의 진단에 있어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보고가 적다. 저자들은 간조직검사를 시행한 알코올간질환 환자에서 간경변증의 진단방법으로 transient elastography를 이용한 간탄성률 측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간초음파, APRI index의 진단능과 비교하였다. 대상/방법: 하루 80 g 이상의 음주력이 있는 알코올간질환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간초음파소견, 간탄성률 측정치, APRI index 및 기타 임상적 변수와 조직검사상 간섬유화 단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ROC곡선의 AUC를 구하여 간경변증에 대한 각 변수의 예측 능력을 평가하였다. 간섬유화의 진행은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의 체계에 따라 0~4단계로 분류했다. 결과: 섬유화 단계에 따른 간탄성률 수치의 중간값을 보면 F1(5명)에서 5.6(범위: 4.8~6.1) kPa, F2(4명)에서 11.5(7.2~19.0) kPa, F3(7명)에서 18.5(9.0~27.7) kPa, F4(29명)에서 35.0(22.8~66.5) kPa이었다. 간섬유화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는 변수는 혈청 내 알부민, 총 빌리루빈, AST 수치와 프로트롬빈시간, 혈소판 수치였다. 간섬유화의 각 단계별로 간탄성률 측정값의 평균을 비교하였을 때 F1과 F2, 3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4와 다른 간섬유화 등급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간초음파검사의 간경변 진단의 민감도는 66%, 특이도는 94%였다. 간탄성률 측정을 이용한 간경변(F4) 및 진행성 간섬유화(≥F3)의 예측의 AUC값은 각각 0.97(95% CI: 0.93~1.01), 0.98(95% CI: 0.94~1.02)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간경변 예측을 위한 적절한 간탄성률 기준값은 25.8 kPa이었으며, 이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90%와 87%였다. 결론: Transient elastography를 이용한 간탄성률 측정은 알코올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경변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default.
- W2593238097 created "2017-03-16"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06612651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08566765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18772316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19481915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20403756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34230408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40162091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65876999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69818368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83728536 @default.
- W2593238097 creator A5091308836 @default.
- W2593238097 date "2009-03-01" @default.
- W2593238097 modified "2023-09-28" @default.
- W2593238097 title "알코올간질환 환자에서 간경변 진단을 위한 transient elastography의 유용성" @default.
- W2593238097 hasPublicationYear "2009" @default.
- W2593238097 type Work @default.
- W2593238097 sameAs 2593238097 @default.
- W2593238097 citedByCount "0" @default.
- W259323809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06612651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08566765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18772316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19481915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20403756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34230408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40162091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65876999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69818368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83728536 @default.
- W2593238097 hasAuthorship W2593238097A5091308836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1268389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14375307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2775934546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2777690781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27777665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2780826214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2989005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58471807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 C90924648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126322002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1268389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14375307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2775934546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2777690781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27777665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2780826214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2989005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58471807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71924100 @default.
- W2593238097 hasConceptScore W2593238097C90924648 @default.
- W2593238097 hasIssue "1" @default.
- W2593238097 hasLocation W25932380971 @default.
- W2593238097 hasOpenAccess W2593238097 @default.
- W2593238097 hasPrimaryLocation W25932380971 @default.
- W2593238097 hasVolume "15" @default.
- W2593238097 isParatext "false" @default.
- W259323809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593238097 magId "2593238097" @default.
- W259323809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