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608161803> ?p ?o ?g. }
Showing items 1 to 50 of
50
with 100 items per page.
- W2608161803 endingPage "101" @default.
- W2608161803 startingPage "87" @default.
- W2608161803 abstract "미래교육의 새로운 비전으로 융합과 창의성을 기조로 한 융합인재교육이 초중등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융합인재교육 연구는 영재교육 영역에서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별적 단위로서의 효과성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정리해봄으로써 융합인재교육을 활용한 창의성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분석은 2012년부터 2015년 까지 최근 4년간 발표된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분석대상 논문 75편의 논문으로부터 총 18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연구의 종속변인인 창의성과 그 하위변인, 문제해결력과 중재변인인 연구자, 대상지역, 학생구분, 실험설계유형, 학교급 별에 따라 효과크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창의성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가 0.776로 나타났고, funnel plot에서 대칭성을 만족하고 있어 출판편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으며, fail-safe N이 780개로 8,945보다 작으므로 이 연구 결과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또한, 문제해결력에 있어서는 0.584로 나타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funnel plot에서 대칭성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출판편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fail-safe N이 780개로 1,170보다 작으므로 이 연구 결과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창의성 하위변인들의 연구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면 유창성이 0.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융통성 0.881, 독창성 0.838, 정교성 0.653, 제목의 추상성 0.705, 종결에 대한 저항 0.527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그 평균의 효과크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의 효과는 판단할 수 있었으나 효과의 원인, 학습원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발견이 어려웠다.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는 학령에 따라 상승 또는 하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창의력에 있어서는 연구방법과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fault.
- W2608161803 created "2017-05-05" @default.
- W2608161803 creator A5000654813 @default.
- W2608161803 creator A5002642148 @default.
- W2608161803 creator A5061564621 @default.
- W2608161803 creator A5080331963 @default.
- W2608161803 date "2017-02-01" @default.
- W2608161803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608161803 title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default.
- W2608161803 doi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87" @default.
- W2608161803 hasPublicationYear "2017" @default.
- W2608161803 type Work @default.
- W2608161803 sameAs 2608161803 @default.
- W2608161803 citedByCount "0" @default.
- W260816180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608161803 hasAuthorship W2608161803A5000654813 @default.
- W2608161803 hasAuthorship W2608161803A5002642148 @default.
- W2608161803 hasAuthorship W2608161803A5061564621 @default.
- W2608161803 hasAuthorship W2608161803A5080331963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105795698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121332964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167651023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17435862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2780439572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39432304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44249647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82605166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 C87717796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105795698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121332964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167651023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17435862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2780439572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33923547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39432304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44249647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82605166 @default.
- W2608161803 hasConceptScore W2608161803C87717796 @default.
- W2608161803 hasIssue "1" @default.
- W2608161803 hasLocation W26081618031 @default.
- W2608161803 hasOpenAccess W2608161803 @default.
- W2608161803 hasPrimaryLocation W26081618031 @default.
- W2608161803 hasVolume "37" @default.
- W260816180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60816180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608161803 magId "2608161803" @default.
- W260816180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