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726474328> ?p ?o ?g. }
Showing items 1 to 49 of
49
with 100 items per page.
- W2726474328 endingPage "359" @default.
- W2726474328 startingPage "359" @default.
- W2726474328 abstract "‘인문치료’라는 분야는 매우 생소한 연구분야로서, 2009년에 처음 등장하게 된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된 용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인문치료는 인문학적 정신과 방법을 통해 마음의 건강을 지향한다는 목적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론은 이미 다양한 인문학적 전통에서는 내재적(內在的)으로 갖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이것을 ‘인문치료’라는 용어로 표현하지 않았을 뿐이다. 인문치료의 방법론은 매우 다양하다. 읽기, 쓰기, 말하기 등은 물론 음악, 영화, 연극, 미술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여기에 불교의 철학과 명상을 인문치료의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BR 불교의 철학과 명상은 이미 다양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에서 응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본 논문은 지난 5년동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해온 “융합연구”를 통해 생산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여, 인문치료에 불교의 철학과 명상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BR 이를 위해서 II장에서는 45편의 논문 가운데, 불교의 철학과 명상의 심신치유적 특징이나 가능성을 탐색한 12편의 논문을 추려내었다. 이들 12편의 논문을 다시 ‘이론연구’와 ‘명상연구’로 구분하여 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론연구는 불교철학을 기반으로 심신치유를 다룬 논문들이고, 명상연구는 불교의 다양한 명상전통이나 방법론에 입각하여 심신치유를 다룬 논문들이다.BR III장에서는 II장의 내용 정리를 바탕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장에서는 특히 기존의 치료방법과는 달리,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의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치료자가 주체가 아닌, 내담자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자존감 회복을 위한 도덕적 품성의 함양, 잘못된 가치관의 발견 및 수정 전략, 생각의 허구성 인식과 같은 방식을 통해 불교의 철학과 명상을 인문치료적 방법론에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default.
- W2726474328 created "2017-07-14" @default.
- W2726474328 creator A5013258836 @default.
- W2726474328 date "2016-12-31" @default.
- W2726474328 modified "2023-09-25" @default.
- W2726474328 title "A Proposal on Applying Buddhist Philosophy and Meditation to Humanities Therapy" @default.
- W2726474328 doi "https://doi.org/10.18587/bh.2016.12.77.359" @default.
- W2726474328 hasPublicationYear "2016" @default.
- W2726474328 type Work @default.
- W2726474328 sameAs 2726474328 @default.
- W2726474328 citedByCount "0" @default.
- W2726474328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726474328 hasAuthorship W2726474328A5013258836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15708023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27206212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500621485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521822307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 C75699723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138885662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15708023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15744967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27206212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500621485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521822307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542102704 @default.
- W2726474328 hasConceptScore W2726474328C75699723 @default.
- W2726474328 hasLocation W27264743281 @default.
- W2726474328 hasOpenAccess W2726474328 @default.
- W2726474328 hasPrimaryLocation W27264743281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2108860473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2806167028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2973620876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3001234570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3046331738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4214916577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4238584702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4244813255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655904045 @default.
- W2726474328 hasRelatedWork W3030765611 @default.
- W2726474328 hasVolume "77" @default.
- W2726474328 isParatext "false" @default.
- W272647432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726474328 magId "2726474328" @default.
- W2726474328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