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736700832> ?p ?o ?g. }
Showing items 1 to 24 of
24
with 100 items per page.
- W2736700832 endingPage "90" @default.
- W2736700832 startingPage "82" @default.
- W2736700832 abstract "창의성에 대한 관심의 역사는 꽤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창의성에 관한 표현이나 기록이 소크라테스와 이온의 이야기를 다룬 플라톤의『이온』속에서도 등장하며, 광기(madness)와의 관련성을 다룬 로마의 정치철학자 Seneca의 견해 속에도 담겨있다(박숙희, 2011). 일찍이 플라톤은 창의적인 사람들을 필요로 하는 사회의 요구를 강조하고 국가가 창의성 계발을 촉진시켜야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화가, 조각가, 시인, 작가, 음악가 그리고 그 밖의 창의적인 예술에 참여하는 많은 사람들의 창의성에 대해 이야기해왔다(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2004).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창의성은 예술이나 문학 등의 특정 영역에서만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거나 주로 창의성의 어두운 면, 신비주의적 측면에 관해 다루어진 경향이있다. 시간의 흐름을 통해 오늘날의 창의성은 학교나 기관을 넘어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자 교육을 통해 양성하고자하는 인재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제 사회 속에서 창의성의 존재감은 막강하며언제나,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필요한 ‘핵심 역량’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default.
- W2736700832 created "2017-07-31" @default.
- W2736700832 creator A5066920856 @default.
- W2736700832 date "2014-06-21" @default.
- W2736700832 modified "2023-09-23" @default.
- W2736700832 title "창의성에 대한 인식의 흐름" @default.
- W2736700832 hasPublicationYear "2014" @default.
- W2736700832 type Work @default.
- W2736700832 sameAs 2736700832 @default.
- W2736700832 citedByCount "0" @default.
- W273670083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736700832 hasAuthorship W2736700832A5066920856 @default.
- W2736700832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2736700832 hasConceptScore W2736700832C95457728 @default.
- W2736700832 hasLocation W27367008321 @default.
- W2736700832 hasOpenAccess W2736700832 @default.
- W2736700832 hasPrimaryLocation W27367008321 @default.
- W2736700832 hasVolume "5" @default.
- W2736700832 isParatext "false" @default.
- W273670083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736700832 magId "2736700832" @default.
- W273670083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