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737611189> ?p ?o ?g. }
Showing items 1 to 45 of
45
with 100 items per page.
- W2737611189 endingPage "46" @default.
- W2737611189 startingPage "45" @default.
- W2737611189 abstract "목적: 교차결합제의 구조와 양 변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와 오플록삭신의 용출농도와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 재료인 HEMA (2-hydroxy ethylmethacrylate)는 Junsei에서 구입하여 증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하였으며, 개시제인 AIBN(2,2‘-Azobisiso butyronitrile)은 Junsei사에서 구입하였다. 교차결합제는 분자구조가 다른 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EGDMA)와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co-3,9-divinyl –2,4,8,10-tetraoxaspiro[5.5]- undecane)(U)을 사용하였다. 항균제인 ofloxacin과 단백질인 bovine serum albumin(BSA), lysozyme 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콘택트렌즈는 두 종류의 교차결합제에 대해 각각 0.5%, 5%의 농도를 사용하였으며 HEMA를 사용한 기본 hydrogel 콘택트렌즈, 고함수 monomer인 NVP와 저함수 mon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여러 종류의 monomer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물성으로 제작하였다. 약물용출 속변화를 시험하기 위 해 ofloxacin을 포함한 콘택트렌즈를 시간대별로 용출되는 양을 분과광도계(Cary 100)를 사용 하였다. 약물용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차결합제의 종류와 양에 따른 약물 속도를 비교하 였다. 본 연구는 총 12종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교차결 합제의 구조와 monomer 종류에 따른 약물용출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ofoxacin이 포함된 콘택트렌즈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을 때 보다 함수율이 약간 감소하였 다. 교차결합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고함수, 저함수 콘택트렌즈 모두 함수율이 감소하였으며, 굴절률은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교차결합제의 구조가 다른 EGDMA와 U 두 종류 모두 같았다. 단백질 부착양은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 더 많이 부착되었으 며 styrene이 첨가된 저함수 콘택트렌즈에서는 단백질이 더 많이 부착되었다. HEMA재질의 렌 즈에서는 Ofloxacin이 포함되었을 경우 단백질 부착이 감소하였으나, styrene을 포함한 렌즈에 서는 ofloxacin 존재 시 오히려 단백질 부착양이 증가되었다. 교차결합제에 따른 약물용출 속 도는 EGDMA보다 bulky한 구조를 가진 개시제 U가 EGDMA보다 더 빠르게 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EMA와 NVP의 경우, 초반기의 약물 용출 속도는 크나 6시간 이후에는 비교적 일정한 형태의 속를 보였다. 그러나 저함수 mom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콘택트렌즈는 용출 속도가 가장 낮았지만, 용출속도는 초반부터 비교적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차결합제로 U사용 시 EDGMA보다 함수율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굴절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약물용출속도는 저함수 monomer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었으며,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의 용 출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default.
- W2737611189 created "2017-07-31" @default.
- W2737611189 creator A5009247218 @default.
- W2737611189 date "2014-05-17" @default.
- W2737611189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737611189 title "오플록삭신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약물용출속도 변화" @default.
- W2737611189 hasPublicationYear "2014" @default.
- W2737611189 type Work @default.
- W2737611189 sameAs 2737611189 @default.
- W2737611189 citedByCount "0" @default.
- W273761118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737611189 hasAuthorship W2737611189A5009247218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32050475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592048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6694092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7879062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8559268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188027245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2777566558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277804924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277851225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50159382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52197771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 C5549386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32050475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592048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6694092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7879062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8559268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188027245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2777566558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277804924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277851225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501593827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521977710 @default.
- W2737611189 hasConceptScore W2737611189C55493867 @default.
- W2737611189 hasLocation W27376111891 @default.
- W2737611189 hasOpenAccess W2737611189 @default.
- W2737611189 hasPrimaryLocation W27376111891 @default.
- W2737611189 isParatext "false" @default.
- W273761118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737611189 magId "2737611189" @default.
- W273761118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