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800888978> ?p ?o ?g. }
Showing items 1 to 61 of
61
with 100 items per page.
- W2800888978 endingPage "231" @default.
- W2800888978 startingPage "193" @default.
- W2800888978 abstract "이 논문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연구한 것이다. 문학독본류는 근대의 문학지식과 미의식을 전수한다. 『시문독본』의 미의식이 객관적 대상을 주관화하는 미적 가치를 통해 근대전환기 문학인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문예독본』의 미의식은 주체의 미적 태도에 따른 표현에 의하여 발현하는 미적 가치에 주목하여 주관-객관화의 체험으로 미적 판단까지 일부분 포함하고 있다. 문학독본류의 미의식은 문학인식에서 판단으로 나아가는 확장을 보여준다.BR 문학독본류는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비중을 둔 지적 능력의 향상과 감정적 언어를 통한 공감으로 일종의 신념체계로써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다. 또한 독본의 교육적 역할과 문학제도의 승인 · 결합을 통과해야만 하는 과정에서 협력 · 순응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게 된다. 문학독본류는 교육을 일차적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술적 교육의 역할을 병행한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독자에게 문학인식을 바탕으로 미의식을 규정하고 미적 판단능력까지 육성하는 것이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근대 문학지식의 함양과 미적 판단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판단의 동인에 민족을 배치하면서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키고 있다.BR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 성격과 당대적 역할을 규명하는 방법은 일제강점기 민간에서 발간된 다른 독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독본들은 그 구성에 있어 문학작품의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각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규명할 수 있다면 근대문학의 정전화에서 일제강점기 독본류의 역할과 의미를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default.
- W2800888978 created "2018-05-17" @default.
- W2800888978 creator A5030474218 @default.
- W2800888978 date "2018-03-31" @default.
- W2800888978 modified "2023-09-26" @default.
- W2800888978 title "A Study on Aesthetic Sense and Ideology of the Literature Reading Books" @default.
- W2800888978 doi "https://doi.org/10.15565/jll.2018.03.73.193" @default.
- W2800888978 hasPublicationYear "2018" @default.
- W2800888978 type Work @default.
- W2800888978 sameAs 2800888978 @default.
- W2800888978 citedByCount "0" @default.
- W2800888978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800888978 hasAuthorship W2800888978A5030474218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07038049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19599485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4314157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5807121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55493662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 C94625758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07038049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19599485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2495271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2741360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3888566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4236211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4314157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44024400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5807121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7744445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199539241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41895202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554936623 @default.
- W2800888978 hasConceptScore W2800888978C94625758 @default.
- W2800888978 hasLocation W28008889781 @default.
- W2800888978 hasOpenAccess W2800888978 @default.
- W2800888978 hasPrimaryLocation W28008889781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024737683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13671579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47777506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63761714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70244186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73811909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382897996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465305160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2800888978 hasRelatedWork W3127224343 @default.
- W2800888978 hasVolume "73" @default.
- W2800888978 isParatext "false" @default.
- W280088897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800888978 magId "2800888978" @default.
- W2800888978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