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898085767> ?p ?o ?g. }
Showing items 1 to 49 of
49
with 100 items per page.
- W2898085767 endingPage "99" @default.
- W2898085767 startingPage "73" @default.
- W2898085767 abstract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2003년도에 연출한 〈엘리펀트 Elephant〉를 ‘다중시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한다. 조엘 마니는 영화에서 시점은 “카메라의 시선이며, 감독의 시선이며, 어떤 문제나 현실세계에 대한 감독의 관점”이라고 했다. 〈엘리펀트〉를 선택한 이유는 이러한 시점의 문제를, 감독이 지닌 현실세계의 인식의 구현인 내러티브와 카메라의 시선인 시각화 문제로까지 확장해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BR 영화 〈엘리펀트〉는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사건을 다루고 있다. 소외된 소수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온 감독은 〈엘리펀트〉에서 이 문제가 발생한 원인 규명보다는 총기난사 사건 발생 당시 같은 장소에 있었던 피해자들과 목격자들, 그리고 가해자들을 평등한 시선으로 지켜볼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엘리펀트〉에서 이러한 인식과 관점의 구현으로서 다중시점을 어떻게 재현해내고 있는 지를, 2장에서는 ‘내러티브로 본 다중시점’을, 3장에서는 ‘스타일로 본 다중시점’을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BR 2장에서, 전형적인 내러티브 방식이 아닌 비전형적인 다중시점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감독은 효과적으로 관객들의 동화를 이끌어내는 방식보다는 감독 자신의 문제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비전형적인 멀티 인물설정, 정교하게 계산된 에피소드식 구성 방식, 그리고 선형적인 내러티브적 시간구성이 아닌 중첩된 시간구성 방식 등을 선택하여 재현하고 있다.BR 3장에서는 앞선 다중시점 내러티브가 감독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느냐와 관련시켰다면, 여기서는 스타일적 측면에서 화면구성으로서 촬영과 시간구성으로 편집을 중심으로 다중시점 시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화는 “카메라가 보여주는(하지만 관객이 보고 있는) 것과 등장인물이 보고 있다고 여겨지는 것 사이의 관계”이다. 즉, 구성된 공간과 시간 속에서 재현된 인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영화적 시점과 카메라의 시선에 관한 것이다. 〈엘리펀트〉에서 카메라의 시선으로 구현된 시각화는 개별 객체들의 시선으로 분화되어 객관화 되었다가 다시 주체로 통합되는 과정을 스타일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BR 〈엘리펀트〉를 연출한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현실세계에 대한 문제인식 방식과 영상적 시각화 재현 방식을 살펴보았다. 〈엘리펀트〉에서의 다중시점 내러티브와 다중시점 시각화는 영상매체로서 영화가 현실세계에 대한 단순한 재현이 아닌 복합적 인식과 지각의 기능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fault.
- W2898085767 created "2018-11-02" @default.
- W2898085767 creator A5017569678 @default.
- W2898085767 date "2018-10-31" @default.
- W2898085767 modified "2023-09-25" @default.
- W2898085767 title "Narrative and visualization through multiple viewpoints : Focused on Gus Van Sant’s 〈Elephant〉" @default.
- W2898085767 doi "https://doi.org/10.24174/jicc.2018.10.15.73" @default.
- W2898085767 hasPublicationYear "2018" @default.
- W2898085767 type Work @default.
- W2898085767 sameAs 2898085767 @default.
- W2898085767 citedByCount "0" @default.
- W289808576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898085767 hasAuthorship W2898085767A5017569678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153349607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154945302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199033989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2776035091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36464697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124952713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142362112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153349607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154945302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199033989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2776035091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36464697 @default.
- W2898085767 hasConceptScore W2898085767C41008148 @default.
- W2898085767 hasLocation W28980857671 @default.
- W2898085767 hasOpenAccess W2898085767 @default.
- W2898085767 hasPrimaryLocation W28980857671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023984156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372544016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388929000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392966546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500662969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2948350292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3038391463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3180433619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4283748150 @default.
- W2898085767 hasRelatedWork W641075926 @default.
- W2898085767 hasVolume "15" @default.
- W2898085767 isParatext "false" @default.
- W289808576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898085767 magId "2898085767" @default.
- W289808576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