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11897798> ?p ?o ?g. }
Showing items 1 to 59 of
59
with 100 items per page.
- W2911897798 endingPage "96" @default.
- W2911897798 startingPage "96" @default.
- W2911897798 abstract "배경: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종을 말한다. 최근 항생제의 사용의 빈도가 늘어나면서 내성균이 증가되고 있고, 특히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 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에 의한 감염증의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CRE 감염증은 최근 제3군 감염병으로 지정되고 CRE 감염증 중 CPE 감염증은 유행 발생시 다른 내성균에 비해 확산 우려가 더 크고 치명률이 높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CRE의 양성률 및 분리 균종의 빈도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방법: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본원에 배양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로 의뢰된 검체를 대상으로 검체는 chromID® CARBA (bioMerieux, France)에 접종하고, VITEK MS (bioMerieux)와 VITEK 2 (bioMerieux) 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정 및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Imipenem 또는 Ertapenem에 내성으로 나온 경우는 CRE로 추정하여 Imipenem과 Ertapenem의 디스크를 통해 확인하고 Modified Hodge test(MHT)를 시행하였다. CPE 확진의 경우는 질병관리본부에 의뢰하였으며 Carbapenemase gene을 PCR로 확인하였다. 질병관리 본부에 의뢰된 검체 중 동일환자의 중복테이터는 제거하였으며 동일 환자의 동일균종의 CRE인 경우 검체가 다른 경우는 포함하였다.결과: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의뢰된 871,253건 중 CRE로 배양된 균주는 2016년 114건, 2017년은 486건이었다. 2016년 균종별로는 K. pneumoniae 83주(72.8%)가 가장 많았으며 E. cloacae 16주(14.0%), E. coli 7주(6.1%)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은 K. pneumoniae 307주(63.1%), E. cloacae 52주(10.7%), E. coli 50주(10.3%)를 나타냈다. 검체별로는 2016년 sputum 62건(54.4%), urine 48건(42.1%), blood 1건(0.9%)였고, 2017년에는 urine 192건(39.5%), sputum 187건(38.5%), blood 48건(9.9%)이었다. CRE로 보고된 검체 중 유전자 type을 확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로 의뢰된 2016년 50검체 중 KPC-2 (K. pneumoniae carbapenemase) 25건(62.5%), NDM-1 (New Delhi metallo-β-lactamase-1 enzymes) 4건(10%), VIM-2 (Verona Integron-ecoded Metallo-β-lactamase) 3건(7.5%)이였다. 2017년의 295건에서도 KPC-2 135건(50.2%), NDM-1 33건(12.3%), VIM-2 3건(1.1%), OXA 3건(1.1%)이였고 Carbapenemase gene PCR 분석에서 음성도 68건(25.3%)을 보였다.결론: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CRE균주는 2016년 0.03%(114/399,659), 2017년 0.10%(486/471,594)를 보였으며 균종별로는 K. pneumoniae, E. cloacae, E. coli의 동일한 순위를 보였다. 검체별로 보면 sputum, urine, blood에서 주로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RE 및 CPE의 감염과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인지와 병원감염관리에 신중을 기해야하고 조기발견과 적절한 예방조치의 시행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default.
- W2911897798 created "2019-02-21" @default.
- W2911897798 creator A5000477110 @default.
- W2911897798 date "2018-01-01" @default.
- W2911897798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911897798 title "MIC-07 :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양성률 및 분리 균종의 빈도" @default.
- W2911897798 hasPublicationYear "2018" @default.
- W2911897798 type Work @default.
- W2911897798 sameAs 2911897798 @default.
- W2911897798 citedByCount "0" @default.
- W2911897798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11897798 hasAuthorship W2911897798A500047711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104317684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142724271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5992322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6301714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6685102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705826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740217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8368673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8910516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79631663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2781069245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50159382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547475151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5549386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8942363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 C9466530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104317684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142724271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5992322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6301714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6685102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705826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740217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8368673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8910516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79631663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2781069245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50159382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547475151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55493867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7192410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8680324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89423630 @default.
- W2911897798 hasConceptScore W2911897798C94665300 @default.
- W2911897798 hasIssue "1" @default.
- W2911897798 hasLocation W29118977981 @default.
- W2911897798 hasOpenAccess W2911897798 @default.
- W2911897798 hasPrimaryLocation W29118977981 @default.
- W2911897798 hasVolume "2018" @default.
- W2911897798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1189779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11897798 magId "2911897798" @default.
- W2911897798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