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12203945> ?p ?o ?g. }
Showing items 1 to 25 of
25
with 100 items per page.
- W2912203945 endingPage "113" @default.
- W2912203945 startingPage "97" @default.
- W2912203945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사회노년학 이론들의 핵심적 가정과 쟁점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의 노령층 연구에 적용된 이론들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의 한국사회의 노인문제 연구에 적합한 이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있었다. 사회노년학에 영향을준 주요 사회학적 이론에 따라 분류하여 한국사회 연구에 적용된 이론들을 밝혔다. 12가지 이론들중 근대화이론, 연령계층론, 생애과정관점, 활동이론, 사회현상학이 검증되었으며, 여권론적관점, 교환이론, 정치경제학관점, 사회와해이론은 시론적으로 소개가 되었고, 은퇴이론, 하위문화론, 세계체제론은 간략하게 소개가 되었다. 한국사회노년학의 발전은 아주 짧은 동안에 이루어졌으나 비교적 다양한 이론들이 소개 및 적용되고 있었다. 필자가 1988년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단지 근대화 이론과 활동이론만이 검증을 거쳤었다. 한국사회노년학에 보다 많은 관심과 학문적 발전이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이론적용 및 개발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시기가 닥칠 것이다. 이 시점에서 한국사회노년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양한 이론 및 방법들을 정식으로 소개하여 음미하고 비판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사회의 노령화 경험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다 풍부하고 많은 맥락적 분석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학문적 접근에서 노년에 대한 이론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default.
- W2912203945 created "2019-02-21" @default.
- W2912203945 creator A5033511036 @default.
- W2912203945 date "1992-03-30" @default.
- W2912203945 modified "2023-09-27" @default.
- W2912203945 title "한국 사회노년학 연구와 이론적 발전" @default.
- W2912203945 hasPublicationYear "1992" @default.
- W2912203945 type Work @default.
- W2912203945 sameAs 2912203945 @default.
- W2912203945 citedByCount "0" @default.
- W2912203945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12203945 hasAuthorship W2912203945A5033511036 @default.
- W2912203945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912203945 hasConceptScore W2912203945C41008148 @default.
- W2912203945 hasIssue "1" @default.
- W2912203945 hasLocation W29122039451 @default.
- W2912203945 hasOpenAccess W2912203945 @default.
- W2912203945 hasPrimaryLocation W29122039451 @default.
- W2912203945 hasVolume "12" @default.
- W2912203945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12203945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12203945 magId "2912203945" @default.
- W2912203945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