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12390352> ?p ?o ?g. }
Showing items 1 to 50 of
50
with 100 items per page.
- W2912390352 endingPage "80" @default.
- W2912390352 startingPage "49" @default.
- W2912390352 abstract "대의제는 익히 대화와 토론을 통한 공공의 이익 판단을 위하여 고안된 정치제도이다. 공공의 이익은 ‘결정’ 되거나 ‘발견’ 되어 진다. 결정되는 공익은 가치관의 차이에 의거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다수결의 원칙으로 정해지는 것이고 발견되는 공익은 숙의 없이 공익이 발견되는 경우와 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로 나뉜다. AI는 이 세 가지 유형 중에서 숙의가 필요한 경우에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현재에도 대의제의 핵심 요소인 선거를 통하여 선출된 대표자들이 공공의 이익을 판단을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와 장치들이 구성되어 있다. 대통령의 직무를 돕기 위해 대통령의 인사권이 인정되는 ‘임명직’ 공직자나 국회의원의 공공의 이익 판단을 위해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 등의 조사기관들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최종 공익결정 권한이 없는 중간 판단자와 공익 결정의 권한이 있는 결정 주체 모두에게 AI는 유용할 수 있다. 물론, 대표를 선출하지 않는 (직접)민주주의 하에서도 AI는 기능할 수 있다. AI가 제공한 정보로 가부를 묻는 실시간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부를 묻는 의제의 선정을 사람이 아닌 AI가 맡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AI가 사람을 지배하는 상황으로 변질 될 수 있는 위험성도 매우 크다. 한 발 더 나아가 AI가 의제를 결정하고 중간 판단도 하며 최종 공익 결정도 AI가 할 경우 사람은 주권을 포기하거나 강탈당하거나 양자 중에 선택해야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는 헌법적으로 용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앞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인공지능의 특징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람에 비하여 훨씬 AI가 ‘객관적’이라 믿는다. 하지만, AI는 어떤 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하는가에 따라서 완벽하게 다른 결론을 ‘객관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AI가 입법과정을 다룸에 있어서 사람만큼이나 편견이 생겨 그 편향성이 강화된다면 AI에게 객관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편향성을 가진 인공지능이 의제를 결정하고 중간판단에도 개입하고 최종 공익 결정도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인 알고리즘 조작을 통해 가능하다면 그것이 우리 인류가 대의제를 고안한 근본 원칙에 맞는 것인가에 대해 동의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이것이 AI가 발전하면 서도 궁극적으로 공공의 이익의 최종 판단을 합의제 의사결정 기구인 국회에서 ‘사람’으로 구성된 국회의원이 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객관적일 것이라 기대하는 AI도 우리만큼 편향적일 수 있기에 우리가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것은 ‘불완전한 인간’들의 숙의를 통한 공익 추구뿐이다." @default.
- W2912390352 created "2019-02-21" @default.
- W2912390352 creator A5014364142 @default.
- W2912390352 date "2018-09-30" @default.
- W2912390352 modified "2023-09-25" @default.
- W2912390352 title "Roles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process under the Representative system: focused on finding and decision on public interest" @default.
- W2912390352 doi "https://doi.org/10.15335/glr.2018.11.3.002" @default.
- W2912390352 hasPublicationYear "2018" @default.
- W2912390352 type Work @default.
- W2912390352 sameAs 2912390352 @default.
- W2912390352 citedByCount "0" @default.
- W291239035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12390352 hasAuthorship W2912390352A5014364142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11191970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154945302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15717000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2777351106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 C98045186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11191970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154945302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15717000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17744445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199539241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2777351106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41008148 @default.
- W2912390352 hasConceptScore W2912390352C98045186 @default.
- W2912390352 hasIssue "3" @default.
- W2912390352 hasLocation W29123903521 @default.
- W2912390352 hasOpenAccess W2912390352 @default.
- W2912390352 hasPrimaryLocation W29123903521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2370652759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3010377670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3107474891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3186052649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3213382970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3216055448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4285239398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4286252312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831794578 @default.
- W2912390352 hasRelatedWork W2971052914 @default.
- W2912390352 hasVolume "11" @default.
- W2912390352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1239035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12390352 magId "2912390352" @default.
- W291239035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