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41502593> ?p ?o ?g. }
Showing items 1 to 44 of
44
with 100 items per page.
- W2941502593 endingPage "70" @default.
- W2941502593 startingPage "29" @default.
- W2941502593 abstract "제1차 원상회복법 Restatement가 부당이득이 계약, 불법행위와 다른 독자적인 책임발생원인이라는 사고를 영미법권 전체에 확대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면, 제3차 원상회복·부당이득법 Restatement는 미국뿐만 아니라 코먼웰스 국가들의 부당이득법에 관한 학문적 발전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영미 부당이득법학 발전사의 하나의 milestone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제3차 Restatement는 일반원칙(General Principles), 원상회복의 책임(Liability in Restitution), 구제(Remedies), 원상회복에 대한 항변(Defenses to Restitution)의 순서로 규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륙법적인 사고를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유럽사법의 통일화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제3차 Restatement에서 주목할만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차 Restatement 제1조는 `정당한 법적 근거의 부존재`를 기준으로 이득의 부당성을 판단한다. 둘째, 제3차 Restatement 제2편은 책임발생 사례를 유형화하여 성립요건과 효과를 다르게 접근하고 있는데, 이는 대륙법상 유형론이 취하는 입장과 유사하다. 셋째, 제3차 Restatement는 위법행위에 대한 원상회복(restitution for wrong)을 부당이득법으로 포섭하고 원고의 손실(expence)요건을 매우 넓은 의미로 이해하여 위법행위에 대한 원상회복(restitution for wrong)의 발생요건으로 손실의 발생요건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넷째, 제3차 Restatement는 위법행위에 대한 원상회복의 경우 등에서 객관적 가치를 초과하는 이득의 토출(disgorgement)을 인정한다. 다섯째, 제3차 Restatement는 보통법상의 제도(준계약: quasi-contract)와 Equity상의 제도(주로 의제신탁: constructive trust)를 통일적으로 규정하였다." @default.
- W2941502593 created "2019-05-03" @default.
- W2941502593 creator A5018060666 @default.
- W2941502593 date "2017-02-01" @default.
- W2941502593 modified "2023-10-17" @default.
- W2941502593 title "미국 부당이득법의 과거와 현재 -제1차 Restatement부터 제3차 Restatement까지-" @default.
- W2941502593 cites W1969952820 @default.
- W2941502593 cites W2054500436 @default.
- W2941502593 cites W2244415714 @default.
- W2941502593 cites W2329947926 @default.
- W2941502593 cites W2797763352 @default.
- W2941502593 cites W3124947555 @default.
- W2941502593 cites W4232741853 @default.
- W2941502593 doi "https://doi.org/10.35148/ilsilr.2017..36.29" @default.
- W2941502593 hasPublicationYear "2017" @default.
- W2941502593 type Work @default.
- W2941502593 sameAs 2941502593 @default.
- W2941502593 citedByCount "0" @default.
- W294150259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41502593 hasAuthorship W2941502593A5018060666 @default.
- W2941502593 hasBestOaLocation W29415025931 @default.
- W2941502593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2941502593 hasConceptScore W2941502593C15744967 @default.
- W2941502593 hasIssue "36" @default.
- W2941502593 hasLocation W29415025931 @default.
- W2941502593 hasOpenAccess W2941502593 @default.
- W2941502593 hasPrimaryLocation W29415025931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1710126152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053487507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077865380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134894512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138503431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765597752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2931662336 @default.
- W2941502593 hasRelatedWork W3049356719 @default.
- W2941502593 hasVolume "null" @default.
- W294150259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4150259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41502593 magId "2941502593" @default.
- W294150259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