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50871560> ?p ?o ?g. }
Showing items 1 to 27 of
27
with 100 items per page.
- W2950871560 endingPage "206" @default.
- W2950871560 startingPage "175" @default.
- W2950871560 abstract "이 글은 2015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도덕 교과서에 재현된 국가 공동체의 모습과 애국의 의미를 노먼 페어클러프(Norma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의 프레임을 활용하여 읽어낸 것이다. 애국심과 애국주의 교육이 교화로 흐를 가능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본 뒤,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4권의 표지, 텍스트, 삽화를 장르, 담론, 스타일로 나누어 언어의 의미 작용(semiosis)과 상호 담론성(interdiscursiveness)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대한민국 국가 공동체는 북한과 대조되는 체제의 경제 공동체, 다문화주의를 품은 원초적 민족 집단으로 정체화되고 있었다. 또한, 애국의 의미는 전체를 개인이나 소수자보다 더 우선하는 위치에 놓는 것,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것, 통일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도덕적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닫힌 담론 구조가 어린이와 교사가 능동적인 사회변혁의 주체로 성장하는 공간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 글은 초등 도덕 교과서의 담론 구조가 우리가 국가 공동체와 나라 사랑을 사유하는 방식을 어떻게 허용하고 또 제한할 수 있는가에 관한 관심과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default.
- W2950871560 created "2019-06-27" @default.
- W2950871560 creator A5055028561 @default.
- W2950871560 date "2019-03-01" @default.
- W2950871560 modified "2023-09-25" @default.
- W2950871560 title "초등 도덕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국가 공동체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default.
- W2950871560 doi "https://doi.org/10.35557/trce.51.1.201903.007" @default.
- W2950871560 hasPublicationYear "2019" @default.
- W2950871560 type Work @default.
- W2950871560 sameAs 2950871560 @default.
- W2950871560 citedByCount "0" @default.
- W295087156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50871560 hasAuthorship W2950871560A5055028561 @default.
- W2950871560 hasBestOaLocation W29508715601 @default.
- W2950871560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2950871560 hasConceptScore W2950871560C41008148 @default.
- W2950871560 hasIssue "1" @default.
- W2950871560 hasLocation W29508715601 @default.
- W2950871560 hasOpenAccess W2950871560 @default.
- W2950871560 hasPrimaryLocation W29508715601 @default.
- W2950871560 hasVolume "51" @default.
- W2950871560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5087156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50871560 magId "2950871560" @default.
- W295087156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