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2966904013> ?p ?o ?g. }
Showing items 1 to 25 of
25
with 100 items per page.
- W2966904013 endingPage "261" @default.
- W2966904013 startingPage "232" @default.
- W2966904013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지도자 집권과정에서 북한「로동신문」에 나타난 음악정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로동신문」1 면에 게재된 악보의 소재와 가사의 특징, 음악적 특징과 게재 시점의 특징을 분석했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 권력 이양기(1994∼1997년)에는 소극적인 ‘지도자 형상’ 소재의 노래가 나타나지만, 김정일 공식집권 단계(1998∼2009년)에서는 ‘당 · 조국’ ‘김정숙’ ‘통일’ 등의 다양한 소재와 함께 본격적인 ‘지도자 형상’ 노래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장중하고 힘 있는 분위기를 강조한다. 김정은 후계자 공식화 단계(2010∼2011년)에서 ‘김정은’ 형상 노래는 젊은 지도자를, ‘당 · 조국’ 소재 노래는 어머니 품과 같은 따뜻한 이미지, 백두혈통의 언급으로 3대 세습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김정은 공식집권 단계(2012∼2015년)에서 김정은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부재를 대신할 수 있는 지도자로 묘사된다. 이를 통해 김정은 또한 김정일과 같이 그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지만 음악을 정치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게재 시점의 특징으로 김정일 집권 시기에는 주요 행사의 기념을 위해 악보가 게재되었다면, 김정은 집권 시기에는 주요 행사의 기념 외에도 특정 사건의 부각, 분위기 전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음악정치를 통해 당의 정책을 살펴보는 데「로동신문」1 면 게재 악보가 의미를 가지며, 이는 집권 단계별 다양한 양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efault.
- W2966904013 created "2019-08-22" @default.
- W2966904013 creator A5037761325 @default.
- W2966904013 date "2015-08-01" @default.
- W2966904013 modified "2023-09-24" @default.
- W2966904013 title "북한 로동신문에 나타난 음악정치 양상 :「로동신문」 1면 악보를 중심으로" @default.
- W2966904013 hasPublicationYear "2015" @default.
- W2966904013 type Work @default.
- W2966904013 sameAs 2966904013 @default.
- W2966904013 citedByCount "0" @default.
- W296690401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2966904013 hasAuthorship W2966904013A5037761325 @default.
- W2966904013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2966904013 hasConceptScore W2966904013C17744445 @default.
- W2966904013 hasIssue "2" @default.
- W2966904013 hasLocation W29669040131 @default.
- W2966904013 hasOpenAccess W2966904013 @default.
- W2966904013 hasPrimaryLocation W29669040131 @default.
- W2966904013 hasVolume "29" @default.
- W2966904013 isParatext "false" @default.
- W296690401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2966904013 magId "2966904013" @default.
- W296690401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