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030479966> ?p ?o ?g. }
Showing items 1 to 45 of
45
with 100 items per page.
- W3030479966 endingPage "149" @default.
- W3030479966 startingPage "116" @default.
- W3030479966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 옹관묘의 축조과정에서 행해진 장송의례에 대해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베트남에서 확인된 옹관묘의 시기적·지역적 특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옹관묘가 확인된 주요 유적을 대상으로 의례적 요소를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옹관묘에 나타난 의례적인 요소로는 옹관묘의 구조적 특징과 배치, 유물부장 위치와 출토된 유물의 종류, 출토상태, 피장자의 매장방법이 있다. 베트남의 옹관묘 매장풍습은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어 청동기시대를 거쳐 초기철기시대에 더욱 발전하게 된다. 사람이 죽으면 죽은 사람과 산사람을 분리하여 묘지를 선정하고, 토지신에 제의를 올린다. 이는 옹관 바닥에서 확인되는 소토와 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시신은 큰 항아리에 넣어 뚜껑을 덮어 수직으로 매장하는데, 이는 죽은 사람에 대한 밀폐 관념의 표현으로 생각된다. 군집양상은 단독 또는 3~5기, 무더기로 군집을 이룬다. 또한 열을 이루거나 바둑판모양의 군집을 이루기도 하는데 모두 일정한 규칙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묘지는 미리 선정하여 옹관을 서로 겹치지 않게 매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옹관의 형태와 인골출토 상태를 통해서 굴장 또는 화장을 하거나 화장 후 뼈만 추려내어 매장하는 이차장이 이루어지며, 추가장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옹관의 내부에는 완형의 토기와 명기, 철기, 청동기, 각종 장식품 등을 부장하고, 외부에는 제기로 사용된 토기를 일부러 깨트려 훼기하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옹관의 바닥, 동체부, 견부, 뚜껑 상면 등 각 단계마다 유물을 부장하고 있다. 즉, 사람이 죽은 후 묘제를 축조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 마다 의례행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종 부장품에는 죽은 사람은 삶을 마감하면서 사후세계에서는 보다 안락한 생활을 하고자 하는 마음, 그리고 살아있는 사람들은 경제적인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이 여러 형태의 의례행위를 통해 반영되어 있다." @default.
- W3030479966 created "2020-06-05" @default.
- W3030479966 creator A5090294661 @default.
- W3030479966 date "2020-02-28" @default.
- W3030479966 modified "2023-10-07" @default.
- W3030479966 title "A Study on the Funeral Rituals for the Jar-Coffins in Vietnam" @default.
- W3030479966 doi "https://doi.org/10.55473/jhas.2020.64.116" @default.
- W3030479966 hasPublicationYear "2020" @default.
- W3030479966 type Work @default.
- W3030479966 sameAs 3030479966 @default.
- W3030479966 citedByCount "0" @default.
- W3030479966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030479966 hasAuthorship W3030479966A5090294661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115534355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78519656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115534355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127413603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195244886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205649164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78519656 @default.
- W3030479966 hasConceptScore W3030479966C95457728 @default.
- W3030479966 hasLocation W30304799661 @default.
- W3030479966 hasOpenAccess W3030479966 @default.
- W3030479966 hasPrimaryLocation W30304799661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1857818686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1982537245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2011445088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2514628812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2916811813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2946390935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3171776543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4247348650 @default.
- W3030479966 hasRelatedWork W4254351779 @default.
- W3030479966 hasVolume "64" @default.
- W3030479966 isParatext "false" @default.
- W3030479966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030479966 magId "3030479966" @default.
- W3030479966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