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19181172> ?p ?o ?g. }
Showing items 1 to 50 of
50
with 100 items per page.
- W3119181172 endingPage "66" @default.
- W3119181172 startingPage "37" @default.
- W3119181172 abstract "이 글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점점 일상 문자로서의 기능을 잃어가는 한자가 새로운 문자사회학적 기능을 획득하는 과정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한국인이 역사적으로 맨 처음 접했던 문자는 한자였다. 이후 한자를 비롯해서 한자를 변형한 문자인 이두, 구결 등이 한국인의 문자 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으며, 1443년 훈민정음이라는 한국 고유의 문자가 창제된 이후에도 한자의 지위는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한글이 국가 차원에서 공적인 문자 생활에 등장하게 된 것은 1894년(고종31) 갑오개혁이 단행된 이후이며, 1970년대부터는 한글 전용 정책에 영향을 받아 한자 사용은 본격적으로 대폭 줄어들게 되었다. 가장 보수적인 매체인 신문에서조차 국한혼용체 기사에서 한자 사용 비율이 한글보다 높았던 우위는 역전되어 한글 위주의 혼용체가 되었다. 이러한 추세라면 일상에서 한자의 실용적 기능이 쇠퇴되어서 언젠가는 한자는 일상 문자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기본적으로 하나의 사회 또는 하나의 텍스트에서 두 개 이상의 문자를 사용하는 이문자 사용(digraphia) 현상이 일어날 때 하나의 문자가 주(主)가 되고 또 하나의 문자가 종(從)이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때 한자가 주가 되었고 한글이 종이 되었거나. 현재 한글이 주가 되고 한자가 종이 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현대 한국 사회에서 한글과 한자는 주와 종의 지위가 아니라 각기 서로 다른 역할을 맡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치 하나의 텍스트에서 두 개 이상의 문자가 나란히 쓰여 서로 구별되는 독자적인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문자의 혼종이라고 보고 주로 한글과 한자가 혼종될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의미 현상을 다음과 같이 모두 일곱 가지로 구분하여 탐구하여 보았다.동의어 구별의미 명확화공간 절약옛스러운 분위기 추가비밀 내용두 가지 이상 의미 전달문자 유희" @default.
- W3119181172 created "2021-01-18" @default.
- W3119181172 creator A5050074087 @default.
- W3119181172 date "2019-01-01" @default.
- W3119181172 modified "2023-09-26" @default.
- W3119181172 title "A Study on Socio-Graphological Func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default.
- W3119181172 hasPublicationYear "2019" @default.
- W3119181172 type Work @default.
- W3119181172 sameAs 3119181172 @default.
- W3119181172 citedByCount "0" @default.
- W311918117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19181172 hasAuthorship W3119181172A5050074087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Score W3119181172C17744445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Score W3119181172C195244886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Score W3119181172C205649164 @default.
- W3119181172 hasConceptScore W3119181172C95457728 @default.
- W3119181172 hasLocation W31191811721 @default.
- W3119181172 hasOpenAccess W3119181172 @default.
- W3119181172 hasPrimaryLocation W31191811721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1569253764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323483022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378445280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503793327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533609165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541641417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550133131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897390913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65087238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72726089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80212509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81945746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83779963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2999173674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004410024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005279857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109824483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114239618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122316481 @default.
- W3119181172 hasRelatedWork W3181089096 @default.
- W3119181172 hasVolume "115" @default.
- W3119181172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1918117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19181172 magId "3119181172" @default.
- W311918117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