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36378392> ?p ?o ?g. }
Showing items 1 to 52 of
52
with 100 items per page.
- W3136378392 endingPage "33" @default.
- W3136378392 startingPage "3" @default.
- W3136378392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효율성 분석 방법인 DEA-CCR, BCC를 이용하여 자율통합 지방정부의 성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성과측정을 위한 자료는 창원시 통합 전·후를 고려하여 2009~2018년까지 10년간의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투입변수는 연도별 공무원 수, 세출 예산이며, 산출변수는 4개의 역량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자치역량지표는 1인당 담당 주민 수, 지방세 수입, 재정자립도, 청렴도 등이며, 생산역량은 지역총생산 규모, 사업체 수, 종사자 수, 고용률 등이며, 기반역량은 도로율, 하수도 보급률, 문화기반시설 수, 1인당 공원면적, 종합병원 병상 수 등이며, 공공서비스 역량은 범죄검거율, 보육시설 수, 노인복지시설 수, 학교 수 등을 활용하였다. 통합창원시의 DEA 효율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역량은 통합 창원시 출범 전에는 창원시의 평균 효율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통합 후는 창원 성산구와 의창구의 효율성은 1로 높았고, 마산회원구는 0.8582, 진해구 0.7566으로 순이다. 둘째, 생산역량은 통합 전에는 창원시와 마산시의 효율성이 높았고, 통합 후에는 창원 성산구와 의창구는 평균 효율성 값이 1이고, 마산회원구와 합포구는 각각 0.7880, 0.7338이고, 진해시는 0.5829로 낮았다. 셋째, 기반역량은 통합 전에는 창원시와 진해시가 높았고, 통합 후에도 창원 성산구와 의창구 그리고 진해구의 효율성 값이 1로서 높게 나타나 창원시의 통합으로 인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서비스 역량은 통합 전에는 모든 도시의 평균 효율성이 1로 높았지만, 통합 후에는 창원 성산구와 의창구를 제외한 진해구 0.8550, 마산회원구 0.8018, 마산합포구 0.7731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창원시의 통합 전과 후의 역량별 성과에는 차이가 있고, 그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도시 특성에 맞는 역량지표를 개발하여 지속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default.
- W3136378392 created "2021-03-29" @default.
- W3136378392 creator A5020476371 @default.
- W3136378392 date "2021-02-28" @default.
- W3136378392 modified "2023-09-23" @default.
- W3136378392 title "Indicator composition and follow-up survey evaluation by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capability Focusing on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ment using DEA" @default.
- W3136378392 doi "https://doi.org/10.37582/cspp.2021.14.4.3" @default.
- W3136378392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136378392 type Work @default.
- W3136378392 sameAs 3136378392 @default.
- W3136378392 citedByCount "0" @default.
- W313637839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36378392 hasAuthorship W3136378392A5020476371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10579569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2778137410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4023179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10579569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124952713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138885662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142362112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2778137410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33923547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4023179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41008148 @default.
- W3136378392 hasConceptScore W3136378392C41895202 @default.
- W3136378392 hasIssue "4" @default.
- W3136378392 hasLocation W31363783921 @default.
- W3136378392 hasOpenAccess W3136378392 @default.
- W3136378392 hasPrimaryLocation W31363783921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10382245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11783790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11838105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2532474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3845020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3979935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6101029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6659309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7431080 @default.
- W3136378392 hasRelatedWork W9818074 @default.
- W3136378392 hasVolume "14" @default.
- W3136378392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3637839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36378392 magId "3136378392" @default.
- W313637839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