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38527427> ?p ?o ?g. }
Showing items 1 to 24 of
24
with 100 items per page.
- W3138527427 endingPage "186" @default.
- W3138527427 startingPage "178" @default.
- W3138527427 abstract "유머와 연봉이 비례한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평범한’ 임원과 ‘뛰어난’ 임원은 평소 사용하는 ‘유머성 발언’의 빈도에서 차이가있었다고 한다(신상훈, 2010). 유머러스한 사람은 어디서나 환영받는 경향이 있다.브리태니커 사전에는 유머(humour)에 대해 ‘복잡한 정신적 자극으로 마음을 즐겁게하거나 웃음이라는 반사행동을 일으키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라고 정의되어있다.Wycoff과 Pryor(2003)는 미래사회에서는 창의적 인재에 대한 요구와 함께 유머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도 하였다. 유머는 청중의 관심을 끌거나 관심과 긴장을 해소해줌으로써 다름 사람과의 관계를 원활히 해주는 기능이 있다(허영주, 2009; 박숙희, 유경훈, 2014). 유머는 사용하는 양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강연미(2006)는 유머스타일에 따라 사회적 유머, 자기확장 유머, 공격적 유머, 자기 패배적유머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크게 적응적인 유머와 부적응적인 유머의 두 가지 스타일로 분류하였다. 이재선(2005)의 연구에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유머를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로 구분하여 다루었는데, 그 중에서도 유머스타일에 대해서는 순응적 유머와 비순응적 유머로 분류하였다. 특히 순응적 유머는 청소년의 문제 중심적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건강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default.
- W3138527427 created "2021-03-29" @default.
- W3138527427 creator A5066920856 @default.
- W3138527427 date "2014-06-21" @default.
- W3138527427 modified "2023-09-24" @default.
- W3138527427 title "초·중학생의 창의성과 유머스타일에 관한 상관분석" @default.
- W3138527427 hasPublicationYear "2014" @default.
- W3138527427 type Work @default.
- W3138527427 sameAs 3138527427 @default.
- W3138527427 citedByCount "0" @default.
- W313852742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38527427 hasAuthorship W3138527427A5066920856 @default.
- W3138527427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3138527427 hasConceptScore W3138527427C142362112 @default.
- W3138527427 hasLocation W31385274271 @default.
- W3138527427 hasOpenAccess W3138527427 @default.
- W3138527427 hasPrimaryLocation W31385274271 @default.
- W3138527427 hasVolume "5" @default.
- W3138527427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3852742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38527427 magId "3138527427" @default.
- W313852742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