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51730897> ?p ?o ?g. }
Showing items 1 to 40 of
40
with 100 items per page.
- W3151730897 endingPage "84" @default.
- W3151730897 startingPage "55" @default.
- W315173089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변인 간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0년 3월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기혼여성, 재취업, 노동시장 재진입, 경제활동참여를 키워드로 국회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포함과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양적 연구물 18편을 최종 선정하고, CMA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발생률을 중심으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Schlossberg(1984)의 4S 전환 이론을 근거로 개인, 상황, 지원, 전략의 4개 요인과 하위 변인 11개(연령, 학력, 거주지역, 가계경제, 가구구조, 배우자 배경, 이전취업경험, 자녀, 배우자의 지지, 보육기관 경험, 정책제도 인지, 교육훈련)에 관한 평균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별 평균 효과크기는 개인 요인 0.379, 상황 요인 0.438, 지원 요인 0.254, 전략 요인 0.166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95% 신뢰수준에서 0을 포함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 요인에서는 배우자 배경(0.506), 이전 취업 경험(0.469)이 그리고 개인 요인에서는 학력(0.440)이 95% 신뢰수준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교적 높은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원 요인과 전략 요인의 효과크기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여성을 둘러싼 상황임을 알 수 있으며, 경력단절여성 중 30대, 고졸 이하 여성의 재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또한 자녀와 관련해서는 자녀 양육 대체자 존재 여부가 결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책 방향 수립이 필요하며, 교육훈련과 관련하여 재취업 지원 기관과 프로그램 운영 면에서의 질적인 성장이 요구된다. 경력단절여성의 증가는 인적 자원의 비효율적인 배분과 낭비를 초래하므로 이들의 재취업에 관한 대책 마련은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이러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default.
- W3151730897 created "2021-04-13" @default.
- W3151730897 creator A5062958974 @default.
- W3151730897 date "2021-03-31" @default.
- W3151730897 modified "2023-10-17" @default.
- W3151730897 title "A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of Reentry Women" @default.
- W3151730897 doi "https://doi.org/10.24991/kjhrd.2021.03.24.1.55" @default.
- W3151730897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151730897 type Work @default.
- W3151730897 sameAs 3151730897 @default.
- W3151730897 citedByCount "0" @default.
- W315173089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51730897 hasAuthorship W3151730897A5062958974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 C164705383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 C2777720157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Score W3151730897C164705383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Score W3151730897C2777720157 @default.
- W3151730897 hasConceptScore W3151730897C71924100 @default.
- W3151730897 hasIssue "1" @default.
- W3151730897 hasLocation W31517308971 @default.
- W3151730897 hasOpenAccess W3151730897 @default.
- W3151730897 hasPrimaryLocation W31517308971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020258764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055807652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059059760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068706947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170586334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354786547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474215814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2951565661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3198013117 @default.
- W3151730897 hasRelatedWork W50877181 @default.
- W3151730897 hasVolume "24" @default.
- W3151730897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5173089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51730897 magId "3151730897" @default.
- W315173089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