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67659272> ?p ?o ?g. }
Showing items 1 to 46 of
46
with 100 items per page.
- W3167659272 endingPage "119" @default.
- W3167659272 startingPage "95" @default.
- W3167659272 abstract "본 연구는 애도중심 미술치료가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와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지 2개월된 38세 기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여 Kübler-Ross의 애도과정 5단계를 바탕으로 구성한 애도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9년 4월 4일부터 2020년 1월 30일까지 주 1~2회, 한 회기 당 70분 내외씩 총 34회기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반려동물 애도 척도(PBQ)와 한국판 벡 우울척도 2판(K-BDI-Ⅱ)을 사전・사후・추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투사검사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를 사전・사후・추후 질적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미술치료 관찰기록지 를 통해 회기와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애도의 비애/슬픔, 트라 우마, 죄책감 영역 점수가 감소되었고, 성인여성의 우울 점수가 크게 감소되었다. 이는 그림검사(HTP)에서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애도중심 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애도 완화 및 우울 감소에 긍정적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중심 미술치료 회기 및 단계에 나타난 애도와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 작업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현실 수용 및 새로운 삶의 의미를 통찰하였다. 또한 우울감의 변화를 자각하고 일상생활을 회복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 완화와 우울 감소에 대한 애도중 심 미술치료의 가치를 제시하였으며, 미술치료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및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efault.
- W3167659272 created "2021-06-22" @default.
- W3167659272 creator A5006803363 @default.
- W3167659272 creator A5028319843 @default.
- W3167659272 creator A5068684260 @default.
- W3167659272 date "2021-05-31" @default.
- W3167659272 modified "2023-09-25" @default.
- W3167659272 title "A Case Study of Grief-Focused Art Therapy on Pet Loss" @default.
- W3167659272 doi "https://doi.org/10.18253/kart.2021.21.1.05" @default.
- W3167659272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167659272 type Work @default.
- W3167659272 sameAs 3167659272 @default.
- W3167659272 citedByCount "0" @default.
- W316765927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67659272 hasAuthorship W3167659272A5006803363 @default.
- W3167659272 hasAuthorship W3167659272A5028319843 @default.
- W3167659272 hasAuthorship W3167659272A5068684260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 C2780837026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 C2781249023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Score W3167659272C15744967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Score W3167659272C2780837026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Score W3167659272C2781249023 @default.
- W3167659272 hasConceptScore W3167659272C542102704 @default.
- W3167659272 hasIssue "1" @default.
- W3167659272 hasLocation W31676592721 @default.
- W3167659272 hasOpenAccess W3167659272 @default.
- W3167659272 hasPrimaryLocation W31676592721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1985595175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008673872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020885388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206296431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792738745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906639632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3154464345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3203383968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4281260409 @default.
- W3167659272 hasRelatedWork W2904960603 @default.
- W3167659272 hasVolume "21" @default.
- W3167659272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6765927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67659272 magId "3167659272" @default.
- W316765927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