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75315207> ?p ?o ?g. }
Showing items 1 to 56 of
56
with 100 items per page.
- W3175315207 endingPage "240" @default.
- W3175315207 startingPage "213" @default.
- W3175315207 abstract "전통적으로 공동체와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국 사회는 가정과 사회에서의 남녀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및 그에 따른 차별적이고 불공평한 사회 및 가정 문화가 실천되고 유지되어왔다. 이러한 전통적인 젠더이해 및 역할에 대한 편견과 이와 관련된 문화적 표현은 페미니즘의 영향과 의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정과 사회에서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집 안팎 (內外)의 이분법적 대립항인 공(公)·사(私) 구분과 공·사영역의 성별화가 여전히 나타나는 한국 가정에서의 부부의 역할을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적절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젠더 불평등은 남녀와 부부를 ``지배``와 ``복종``의 관계 틀 속에 가두고 사회와 가족 관계에서 후자에게 불공평을 강요하거나 정당화시키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회·가족적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 페미니스트들은 동등한 존중에 기초한 완전한 상호성으로서의 아가페 사랑을 재 정의하는 동시에 결혼 관계에도 정의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 한다. 그러나 불공평한 성역할의 교정에 대한 부분적인 기여에도 불구하고 평등주의적 에토스와 관련된 정의의 적용은 인간관계가 정의나 법으로 강제 되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를 노정한다. 본 논문은 이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차원에서의 실험적인 제안으로 공동체와 개인 모두에 대한 존중을 강조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과 한국의 불가분성의식을 소개한다. 그러나 이들 모델 양자는 쉽게 실천되어질 수 없기에, 남녀 및 부부는 그들의 불공평한 관계의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따라서 도덕성과 상호성에 기초한 성숙한 관계 및 젠더 역할과 의식은 좋은 습관의 실행에 의한 성숙한 품성의 개발과 더불어 가능하다." @default.
- W3175315207 created "2021-07-05" @default.
- W3175315207 creator A5062286730 @default.
- W3175315207 date "2011-01-01" @default.
- W3175315207 modified "2023-09-28" @default.
- W3175315207 title "An Aristotelian Analysis of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Korean Context" @default.
- W3175315207 hasPublicationYear "2011" @default.
- W3175315207 type Work @default.
- W3175315207 sameAs 3175315207 @default.
- W3175315207 citedByCount "0" @default.
- W317531520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75315207 hasAuthorship W3175315207A5062286730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107993555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166957645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2779343474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107993555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144024400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15744967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166957645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2779343474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77805123 @default.
- W3175315207 hasConceptScore W3175315207C95457728 @default.
- W3175315207 hasLocation W31753152071 @default.
- W3175315207 hasOpenAccess W3175315207 @default.
- W3175315207 hasPrimaryLocation W31753152071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07186001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547335962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657441713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66616081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753094628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218350948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280248737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280792472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321780620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372124433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516601429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802439740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3014288053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3120821314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600909060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793891350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1544061890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295846587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299190099 @default.
- W3175315207 hasRelatedWork W2583830184 @default.
- W3175315207 hasVolume "22" @default.
- W3175315207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7531520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75315207 magId "3175315207" @default.
- W317531520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