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195677107> ?p ?o ?g. }
Showing items 1 to 59 of
59
with 100 items per page.
- W3195677107 endingPage "73" @default.
- W3195677107 startingPage "55" @default.
- W3195677107 abstract "관광지와 관련되는 고유명사는 최대한 관광객들에게 명확한 관광 정보를 알려주기 위 한 것이기에 번역을 함에 있어서 이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국립국어원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고유명사를 번역할 경우, 중국어 원음이 지나치게 강조되기에 중국 어를 모르는 관광객들에게 있어서 번역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본고는 중국 항주 관광과 관련된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그 한국어 번역에 대해 논의를 해 보았다. 주로 항주 관광에 서 자주 경험하게 될 자연산수, 인문 유적지, 둑과 섬, 길 이름, 경관 이름, 식당 이름, 요리 이름 등을 열거하여 그 구체적인 번역 방법에 대해 중-한 양국 언어에 능통한 전문가 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번역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자 하였다. 조사 결과를 보면 안내판, 메뉴판 등에 제시를 해야 할 경우, 한국인이든 중국 인이든 전체적으로 한국식 한자음 번역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다만 한국인 응답자 중에서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중국어 원음 표기법을 선택한 자의 비례수가 상대적으 로 중국인 응답자보다 높았고 개별적 몇몇 어휘, 예컨대 小和山,钱塘江, 西溪湿地,外婆家 등의 번역은 중국인 응답자와 한국인 응답자가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즉 한국인 응답자 는 다수가 중국어 원음 표기법을 선택한 반면, 중국인 응답자는 다수가 한국식 한자음 번역법을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사를 통해 고유명사의 번역은 하나의 획일적인 규칙 또는 전략을 따르기보다 구체적인 상황과 유형에 따라 융통성 있게 번역을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고유명사의 번역은 정보성, 습관성, 일관성, 소통성, 시각적 효과 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연산수, 인문 유적지, 둑과 섬, 길 이름, 경관 이름 등은 한국식 한자음 번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식 이름은 원음 표기법+뜻풀이식으로 번 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고 싶다." @default.
- W3195677107 created "2021-08-30" @default.
- W3195677107 creator A5016051165 @default.
- W3195677107 creator A5086025262 @default.
- W3195677107 date "2021-07-31" @default.
- W3195677107 modified "2023-09-26" @default.
- W3195677107 title "On Approaches to Translation of Proper Nouns from Chinese to Korean" @default.
- W3195677107 doi "https://doi.org/10.47293/ihumjj.2021.31.3" @default.
- W3195677107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195677107 type Work @default.
- W3195677107 sameAs 3195677107 @default.
- W3195677107 citedByCount "0" @default.
- W319567710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195677107 hasAuthorship W3195677107A5016051165 @default.
- W3195677107 hasAuthorship W3195677107A508602526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04317684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05580179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21934690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49364088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15494530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204321447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41417386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55493867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04317684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05580179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21934690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3888566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49364088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15494530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204321447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41008148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41417386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41895202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55493867 @default.
- W3195677107 hasConceptScore W3195677107C86803240 @default.
- W3195677107 hasLocation W31956771071 @default.
- W3195677107 hasOpenAccess W3195677107 @default.
- W3195677107 hasPrimaryLocation W31956771071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2026681764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2150288425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2736640810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2895599424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3107474891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3129740226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3157750723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3162830429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4327798697 @default.
- W3195677107 hasRelatedWork W379339940 @default.
- W3195677107 hasVolume "31" @default.
- W3195677107 isParatext "false" @default.
- W319567710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195677107 magId "3195677107" @default.
- W319567710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