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200219799> ?p ?o ?g. }
Showing items 1 to 51 of
51
with 100 items per page.
- W3200219799 endingPage "762" @default.
- W3200219799 startingPage "727" @default.
- W3200219799 abstract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사건과 세월호 사건은 모든 국민에게 비극적인 참사였으며, 이와 관련한 기억의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한편 사실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큐멘터리 영화는 사실 그 자체를 전달하기보다는, 특히 ‘대항서사’로 읽어낼 수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는 서사적 논리에 따라 완결된 이야기의 형태로 재현하여 전달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두 사건을 각각 다룬 <공동정범>(2016)과 <부재의 기억>(2018)은 기존 다큐멘터리와는 차별점을 갖는다. <공동정범>은 화재사건 이후 당사자들의 삶에 주목하고 있으며, <부재의 기억> 역시 과거가 된 세월호 침몰을 현재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에 대하여 다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두 다큐멘터리 영화는 ‘사건 이후’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스펙터클로부터 출발하여, 화재와 침몰에 대한 국가의 침묵을 구멍 혹은 공백의 이미지로 재현하여 국가적 재난에 대한 새로운 ‘다시 쓰기’의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적 재난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을 통하여 재난 속 그리고 재난 후의 형상화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중심에는 ‘국가적 공백’이라는 이미지가 있으며, 이를 드러내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재난을 둘러싼 다큐멘터리 영화가 갖게 되는 공적 영역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가 논의했던 ‘정치적인 것’을 설명하고 이와 연관지어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적 영역의 성격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두 다큐멘터리 영화의 분석 작업이 담론적 차원에서 접근해야함을 피력하고자 한다. 이어서 분석의 도구로서 담론적 차원의 방법론을 차용하며 최종적으로 아렌트의 논의를 바탕으로 각 작품이 스펙터클에 부여하는 ‘국가적 공백’의 의미와 더불어 정치적인 것의 의의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default.
- W3200219799 created "2021-09-27" @default.
- W3200219799 creator A5023385886 @default.
- W3200219799 date "2021-08-31" @default.
- W3200219799 modified "2023-09-24" @default.
- W3200219799 title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National Vacuum’ through Documentary Films -Focusing on The Remnants and In The Absence-" @default.
- W3200219799 doi "https://doi.org/10.52743/hr.62.23" @default.
- W3200219799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200219799 type Work @default.
- W3200219799 sameAs 3200219799 @default.
- W3200219799 citedByCount "0" @default.
- W320021979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200219799 hasAuthorship W3200219799A5023385886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153349607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2776359362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2993349003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52119013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94625758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142362112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153349607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17744445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199539241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2776359362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2993349003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52119013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94625758 @default.
- W3200219799 hasConceptScore W3200219799C95457728 @default.
- W3200219799 hasLocation W32002197991 @default.
- W3200219799 hasOpenAccess W3200219799 @default.
- W3200219799 hasPrimaryLocation W32002197991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070714269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146901454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371338038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42078714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562575105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607832767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892832445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589492391 @default.
- W3200219799 hasRelatedWork W622736085 @default.
- W3200219799 hasVolume "62" @default.
- W3200219799 isParatext "false" @default.
- W320021979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200219799 magId "3200219799" @default.
- W320021979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