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207011330> ?p ?o ?g. }
Showing items 1 to 40 of
40
with 100 items per page.
- W3207011330 endingPage "58" @default.
- W3207011330 startingPage "31" @default.
- W3207011330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표준문법 수립을 위한 국립국어원 발주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한국어 표준 문법(2018)>에 ‘담화론’이 주요 하위 영역으로 포함된 것을 계기로 표준문법으로서의 ‘담화론’의 내용 구성을 점검한 논의이다. 중등학교 교과서와 문법 총론서의 ‘담화론’은 화용론에서 출발하여 텍스트언어학적 내용과의 혼재를 보이다가 점차 텍스트언어학적 내용으로 체계를 잡아가는 경향성을 보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화용론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언어 단위로서의 담화의 여러 측면을 일관되게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내용상 체계적이다. 중등학교 교과서에 담화론이 다루는 내용 또한 그와 비슷하게 정연해진 것도 학문문법에서의 논의가 어느 정도 무르익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화용론과 텍스트언어학적 논의들이 혼재한 담화론 논의들이 보인다. 화용론과 텍스트언어학은 분명히 언어를 상황과 맥락 속에서 고려한다는 점에서 접점을 가지는 연구이지만, 화용론이 의미 해석 방법론의 하나라면 텍스트언어학이나 담화 분석은 문장보다 큰 언어 단위인 담화의 특성을 살피는 대상론이어서 양자는 매우 상이한 성격을 갖는다. 2장에서는 ‘담화론’ 정립을 위해 여러 언어 단위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방법론으로서의 화용론의 특성을 여러 면에서 검토하였다. 화용론은 담화보다 작은 언어 단위인 어휘나 문장 단위의 해석과 관련되는 경우도 많아 담화론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화용론적 관심과 텍스트언어학적 관심이 어떤 면에서 공통되고 어떤 면에서 상이한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새로운 표준문법을 제시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의 ‘담화론’이 화용론의 내용을 섞지 않고 언어 단위로서의 담화의 개념과 특성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였지만 부분적으로 텍스트언어학적 혹은 담화 분석적 개념을 잘못 채용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default.
- W3207011330 created "2021-10-25" @default.
- W3207011330 creator A5075070717 @default.
- W3207011330 date "2021-06-30" @default.
- W3207011330 modified "2023-09-23" @default.
- W3207011330 titl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nts of 'Discourse Theory' in Standard Grammar" @default.
- W3207011330 doi "https://doi.org/10.15811/jkl.2021..98.002" @default.
- W3207011330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3207011330 type Work @default.
- W3207011330 sameAs 3207011330 @default.
- W3207011330 citedByCount "0" @default.
- W32070113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207011330 hasAuthorship W3207011330A5075070717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 C26022165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Score W3207011330C138885662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Score W3207011330C26022165 @default.
- W3207011330 hasConceptScore W3207011330C41895202 @default.
- W3207011330 hasIssue "0" @default.
- W3207011330 hasLocation W32070113301 @default.
- W3207011330 hasOpenAccess W3207011330 @default.
- W3207011330 hasPrimaryLocation W32070113301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10043089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10604420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13103959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14519841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5275795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6489636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6961447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7545056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9452413 @default.
- W3207011330 hasRelatedWork W9910993 @default.
- W3207011330 hasVolume "98" @default.
- W32070113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32070113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207011330 magId "3207011330" @default.
- W32070113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