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3208692017> ?p ?o ?g. }
Showing items 1 to 34 of
34
with 100 items per page.
- W3208692017 endingPage "254" @default.
- W3208692017 startingPage "254" @default.
- W3208692017 abstract "기후온난화와 극단화로 인해, 상수원댐, 4대강 보구간은 물론 농업용저수지와 같은 정체수역에서 녹조발생이 빈발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국민적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정체수역의 녹조발생에 대한 주요 관리대책으로 응집제 등을 이용한 가압부상, 응집부상 등 녹조의 제거방안이 적용되고 있으나 수거된 녹조부산물은 폐기물로 처리하고 있어 추가비용이 투입되는 등 녹조수거체의 처리방안에 대한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업용저수지 등 정체수역에서 발생하는 녹조가 환경적 문제를 유발하기 전에 수거하여 자원화하는 공정 기술의 개발은 수생태 건강성 보호와 함께 농어촌지역의 자원순환기술로써 의미가 크다. 또한, 녹조의 독성 여부를 판단하여 유기질 비료, 사료, 버섯배지, 고체연료 등으로 농업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와 시제품 개발을 통한 실용성 규명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의 녹조를 수거하여 버섯배지로의 자원화 방안을 분석하고 안전하고 실용성 있는 시제품을 개발하여 시험적용을 통해 상용화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녹조수거체는 남양호에서 천연응집제를 이용한 응집부상을 통해 수거하였으며, 수거당시 유해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극우점하였다. 녹조수거체를 버섯배지로 자원화하기 위해 수분 97%의 신선한 상태의 녹조 70%에 셀룰로즈 수분조절제를 첨가한 버섯배지에 Pleurotus Ostreatus DH-1012 느타리버섯 균주를 접종하여 1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버섯과 버섯 배지의 성분, 안전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원화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조절제로 톱밥, 면실박, 비트펄프 및 미강을 사용한 경우, 1,100cc 버섯재배병 당 느타리버섯 수확량이 165.87g으로 높았으며, 생육하여 수확한 느타리버섯의 색감이 흑회색으로 식감도 우수하여 최적배지 혼합에 미강이 영양분으로 중요한 것이 판명되었다. 자연수거 녹조보다 신선도가 높았던 남양호 수거녹조는 수분조절제의 배합율을 최적화하여 적용하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수거녹조의 버섯배지 자원화 부산물 성분분석결과 버섯재배 후 Biomass의 유기질비료, 기능성사료 및 연료화 등 자원화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버섯배지 자원화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 버섯과 부산물의 수익화가 모두 가능하여 수익성 높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녹조수거체를 이용한 본 연구의 자원화 기술 개발은 녹조를 유해물질이 아닌 자원으로 인식 전환하여 수질개선 및 녹조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녹색기술로 농어촌지역의 소득향상에 기여하는 녹색농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default.
- W3208692017 created "2021-11-08" @default.
- W3208692017 creator A5038806730 @default.
- W3208692017 creator A5073316641 @default.
- W3208692017 creator A5074664580 @default.
- W3208692017 creator A5075118343 @default.
- W3208692017 date "2015-01-01" @default.
- W3208692017 modified "2023-09-23" @default.
- W3208692017 title "농업용저수지에서 수거한 녹조의 버섯배지 자원화" @default.
- W3208692017 hasPublicationYear "2015" @default.
- W3208692017 type Work @default.
- W3208692017 sameAs 3208692017 @default.
- W3208692017 citedByCount "0" @default.
- W320869201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3208692017 hasAuthorship W3208692017A5038806730 @default.
- W3208692017 hasAuthorship W3208692017A5073316641 @default.
- W3208692017 hasAuthorship W3208692017A5074664580 @default.
- W3208692017 hasAuthorship W3208692017A5075118343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 C31903555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 C39432304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Score W3208692017C31903555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Score W3208692017C39432304 @default.
- W3208692017 hasConceptScore W3208692017C86803240 @default.
- W3208692017 hasLocation W32086920171 @default.
- W3208692017 hasOpenAccess W3208692017 @default.
- W3208692017 hasPrimaryLocation W32086920171 @default.
- W3208692017 hasVolume "2015" @default.
- W3208692017 isParatext "false" @default.
- W320869201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3208692017 magId "3208692017" @default.
- W320869201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