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00253261> ?p ?o ?g. }
Showing items 1 to 49 of
49
with 100 items per page.
- W4200253261 endingPage "229" @default.
- W4200253261 startingPage "184" @default.
- W4200253261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언론(言論)’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일본은 전혀 그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 사회적 차원에서 이러한 언론 관련 용어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차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유교적 공론 정치의 토대가 정비되어 있었고 대간 언론 문화에 기반을 둔 언로 사상 및 성리학 보급에 따른 인간 중심 사상이 크게 발달한 한국에서는 근대 신문 생성기에 정론지가 크게 발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문은 시사 잡지 부문을 주도하고 방송 부문에도 관여한다. 이러한 가운데 ‘기본적으로 사람 사이의 소통을 의미하는 언론’이라는 말이 여러 매체를 총칭하거나, 커뮤니케이션 관련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분쟁이 발생하면 쌍방 모두를 처벌하는 겐카료세이바이(喧嘩両成敗) 관행이 역사적으로 뿌리를 내려, 언쟁은 극력 억제되는 가운데, 메츠케(目付)와 같은 감시 기구가 크게 발달한다. 이와 동시에 자연 친화적 종교인 신도 및 사람과 사물이 서로 전화(轉化)한다고 보는 불교가 널리 보급된다. 이러한 가운데, 근대 신문 생성기에 먼저 나타난 정론지(대신문)가 성장하지 못하고 오히려 대중지(소신문)가 성장하여 지금으로 이어진다. 또한 시사 잡지 부문은 이러한 신문 부문과 무관한 형태로 입지를 구축하며, 방송 부문은 신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매체라는 인식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매체를 포괄하는 고유의 용어는 나타나지 않으며, 신문, 잡지, 방송의 보도 및 논평 활동을 아우르는 용어로는 저널리즘이 사용되며, 그리고 프로파간다를 대신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나, 기본적으로 매체를 의미하는 용어인 미디어가 커뮤니케이션 관련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fault.
- W4200253261 created "2021-12-31" @default.
- W4200253261 creator A5083978439 @default.
- W4200253261 date "2021-12-31" @default.
- W4200253261 modified "2023-09-25" @default.
- W4200253261 title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Use of the Term Eonron in Korean and Japan" @default.
- W4200253261 doi "https://doi.org/10.46407/kjci.2021.12.110.184" @default.
- W4200253261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4200253261 type Work @default.
- W4200253261 citedByCount "0" @default.
- W420025326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00253261 hasAuthorship W4200253261A5083978439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121332964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2780876879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61797465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62520636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121332964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138885662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15744967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2780876879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41895202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542102704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61797465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62520636 @default.
- W4200253261 hasConceptScore W4200253261C95457728 @default.
- W4200253261 hasLocation W42002532611 @default.
- W4200253261 hasOpenAccess W4200253261 @default.
- W4200253261 hasPrimaryLocation W42002532611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1968790940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091345835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185569126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391573359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489895148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2917528617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3096114110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3201186294 @default.
- W4200253261 hasRelatedWork W4317999657 @default.
- W4200253261 hasVolume "110" @default.
- W4200253261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0025326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0025326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