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00314087> ?p ?o ?g. }
Showing items 1 to 48 of
48
with 100 items per page.
- W4200314087 endingPage "312" @default.
- W4200314087 startingPage "285" @default.
- W4200314087 abstract "학술적 범주에서 로컬 또는 로컬리티를 주목하는 이유는 그 실천적 배경의 탐색에 있어 낱낱의 인간이 일상을 조직하는 삶터로서 바로 지역이 우선시되기 때문일 것이 다. 행정적 경계로 분할된 지방도 아니고 국가 단위에서 소위 강대국의 중심적 위상에 대비되는 하위급으로서 주변부도 아닌, 일상의 주된 동선 반경 속에 생존·생활의 기반 을 아우르는 실제적 거처로서 지역 말이다. 본 연구에서 취하는 관점은 사회적 층위에서 작동하는 감성의 동역학이 그 감성의 주체가 발 딛고 선 장소(로컬)의 일상을 위해 무엇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그 조건은 바 로 무엇인가 하는 탐색을 향해 있다. 그리고 그 탐색 과정에서 특히 착안하는 지점은 지역에 관한 중심-주변 시각에서 벗어나 분권적 횡단형 구조로 글로컬 네트워크를 구 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이다. 이 글은 감성, 공간, 지역 등에 관한 전환적 착목 중 트랜스로컬리티에 관한 연구 범 주에서 학술적 통찰과 감성적 성찰이 로컬구성원 개인의 신체 안에 교차하며 만들어내 는 트랜스로컬리티의 발현 가능성을 가정하고 있다. 즉 ‘로컬담론>학술연구>트랜스 로컬>로컬담론’의 형태로 순환하는 재귀적 알고리즘을 전제로 하여, 이후 로컬 연구의 전환적 이행을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서 혹은 인지와 감성이 상호작용하며 내면의 로컬 리티를 구성해내는 장소로서 신체의 매체적 기능을 조명하고 있다. 글에서는 먼저, 로컬에 대한 전환적 인식을 제기해 온 이론가(두셀)의 주체적 지위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가운데 트랜스로컬 연구의 실천적 조건으로 삼을 수 있는 점을 도출해보기로 한다. 특히 세계적 해방 기획으로 제안하는 통근대성(transmodernidad) 이 뜻하는 바를 살펴보면서 이것이 한국 사회의 분권과 횡단에 관한 감성인문학적 논 의와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해보기로 하겠다." @default.
- W4200314087 created "2021-12-31" @default.
- W4200314087 creator A5015391092 @default.
- W4200314087 creator A9999999999 @default.
- W4200314087 date "2021-11-30" @default.
- W4200314087 modified "2023-09-27" @default.
- W4200314087 title "The Direction of Humanities Research for Transversality of Cultural Exchange : Focusing on Critical Acceptance of Enrique Dussel’s Liberation Projec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motional Humanities Studies" @default.
- W4200314087 doi "https://doi.org/10.30974/kaice.2021.10.6.11" @default.
- W4200314087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4200314087 type Work @default.
- W4200314087 citedByCount "0" @default.
- W420031408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00314087 hasAuthorship W4200314087A5015391092 @default.
- W4200314087 hasAuthorship W4200314087A9999999999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111472728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134306372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15708023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24167531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111472728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134306372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138885662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144024400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15708023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24167531 @default.
- W4200314087 hasConceptScore W4200314087C33923547 @default.
- W4200314087 hasIssue "6" @default.
- W4200314087 hasLocation W42003140871 @default.
- W4200314087 hasOpenAccess W4200314087 @default.
- W4200314087 hasPrimaryLocation W42003140871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473335724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609344916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780307509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4210390885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59019880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766819059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308060692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460312481 @default.
- W4200314087 hasRelatedWork W2478882070 @default.
- W4200314087 hasVolume "10" @default.
- W4200314087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0031408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0031408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