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07030657> ?p ?o ?g. }
Showing items 1 to 55 of
55
with 100 items per page.
- W4207030657 endingPage "223" @default.
- W4207030657 startingPage "195" @default.
- W4207030657 abstract "이 글의 문제의식은 소셜미디어가 전통적인 문자미디어인 수기물 · 인쇄물의 역할을 보완 · 대체하는 2000년대 이후의 상황에서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의 재매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환천 · 최대호와 글배우의 시, 싱고의 웹툰과 소스 시를 대상으로 해서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론을 참조해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를 분석했다.<BR> 첫째, 이환천 · 최대호는 낙서 형태의 수기 시를 SNS로 반영 · 복원하는 ‘재현’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이환천 · 최대호의 SNS 시에서는 낙서 형태의 수기 시와 비교해볼 때에 시인 자격과 촬영 · 편집기술의 비전문성으로 인한 친밀성이라는 형식적인 특성을, 그리고 20대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현실적 · 존재론적인 문제를 공론화하는 내용적인 특성을 소셜미디어에서 전략적으로 보여주는 ‘재현’의 방법을 사용한 것이었다.<BR> 둘째, 글배우는 벽시를 전자적 버전으로 확실하게 업그레이드하는 ‘개선’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글배우의 SNS 벽시는 수기된 벽시에 비해서 촬영 · 편집기술이 있고 소통 · 보존의 영구성이 있다는 형식적인 특성, 그리고 청년세대 격려 · 위로 · 자성하기와 용기주기라는 테마의 중심화소가 있다는 내용적인 특성을 지녔다.<BR> 셋째, 싱고는 34편의 시에 나타난 다양한 정서 · 상황을 새로운 스토리텔링으로 만드는 ‘흡수’의 방법으로 재매개했다. 소스 시와 비교해 볼 때에 싱고의 웹툰은 만화의 칸틀 배열과 글 · 그림의 상호의존 결합이라는 형식적인 특성, 또한 소스 시의 다양한 정서 · 상황을 독특한 만화 캐릭터가 등장하는 스토리로 재구성하는 내용적인 특성을 보여줬다.<BR> 이렇게 볼 때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주요 시는 시의 수기 · 인쇄된 형태를 ‘재현’, ‘개선’과 ‘흡수’의 방법으로 재매개했음이 확인된다. 뉴미디어인 소셜미디어는 올드미디어인 전통적인 문자미디어와 별개의 환경에서 놓인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문자미디어를 매개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드러내거나 은폐함으로써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매개 관계는 올드미디어의 여러 속성이 뉴미디어의 시대에 다양한 방법으로 스스로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획득함을 뜻하고, 뉴미디어의 사회적 · 역사적 · 문학적인 의미와 영향관계를 재인식하게 만든다." @default.
- W4207030657 created "2022-01-26" @default.
- W4207030657 creator A5047359021 @default.
- W4207030657 date "2021-12-31" @default.
- W4207030657 modified "2023-09-24" @default.
- W4207030657 title "Aspects of the Remediation of Major Poems in Social Media" @default.
- W4207030657 doi "https://doi.org/10.15565/jll.2021.12.88.195" @default.
- W4207030657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4207030657 type Work @default.
- W4207030657 citedByCount "0" @default.
- W420703065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07030657 hasAuthorship W4207030657A5047359021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12570922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64913051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8903297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29595303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518677369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522964758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12570922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24952713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42362112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44024400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64913051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7744445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8903297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199539241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29595303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518677369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522964758 @default.
- W4207030657 hasConceptScore W4207030657C86803240 @default.
- W4207030657 hasLocation W42070306571 @default.
- W4207030657 hasOpenAccess W4207030657 @default.
- W4207030657 hasPrimaryLocation W42070306571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256318821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281339069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291837884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302045069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542525953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2900715685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3125705212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3154513825 @default.
- W4207030657 hasRelatedWork W4205690996 @default.
- W4207030657 hasVolume "88" @default.
- W4207030657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0703065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0703065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