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07072194> ?p ?o ?g. }
Showing items 1 to 45 of
45
with 100 items per page.
- W4207072194 endingPage "69" @default.
- W4207072194 startingPage "45" @default.
- W4207072194 abstract "영역을 막론하고 현재의 이론들이 처한 심각한 답보 상태와 관련하여 필요한 것은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의 지침을 따르는 일, 즉 사용 가능한 이론적 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작업이다. 이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사회학에 국한될 수 없다. 차라리 그것은 루만의 체계이론이 원래 지향했던 목표, 즉 보편적인 것의 층위에 도달하려는 시도라고 해야 옳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모든 이론은 언어적 구성물’이라는 가설에 기초하여 루만의 지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려 한다. 이 작업의 내적 동력은 독일의 이론가 베르너 하마허의 문헌학적 이념이 제시하는 범(汎)언어적 표상으로부터 길어진다. 제1장에서는 루만의 텍스트에 삽입된 “마치 원죄처럼”이라는, 일견 사소해 보이는 비유 안에 숨겨져 있는 거대한 이론적 잠재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는 제2장의 주제, 즉 원죄와 영지라는 신학적 근본 개념의 중요성을 재고하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원죄와 영지는 루만의 ‘구별’ 개념의 이론적 기능을 선취하는 개념이며 나아가 그것을 지탱하는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밝혀지는 사실은 신학과 사회학이 문헌학이라는 무한한 자장(磁場)의 두 극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통찰을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카프카의 ‘자연극장’이라는 형상을 통해 ‘구별 속의 구별’이라는 루만 이론의 중핵 개념에 접근하는 작업이 이뤄질 것이다. 결론에서는 모든 이론이 필연적으로 지시하거나 포함할 수밖에 없는 ‘미표시 영역’이 곧 문헌학의 근원적 장소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바로 이 장소의 존재 덕분에 우리는 실패를 무릅쓰면서도 이론적 작업을 거듭 재개할 수 있는 것이다." @default.
- W4207072194 created "2022-01-26" @default.
- W4207072194 creator A5013268760 @default.
- W4207072194 date "2021-10-31" @default.
- W4207072194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207072194 title "Utilizing Philology" @default.
- W4207072194 doi "https://doi.org/10.21720/complit85.02" @default.
- W4207072194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4207072194 type Work @default.
- W4207072194 citedByCount "0" @default.
- W4207072194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07072194 hasAuthorship W4207072194A5013268760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23987474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2777688943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138885662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17744445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199539241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23987474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2777688943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41895202 @default.
- W4207072194 hasConceptScore W4207072194C95457728 @default.
- W4207072194 hasLocation W42070721941 @default.
- W4207072194 hasOpenAccess W4207072194 @default.
- W4207072194 hasPrimaryLocation W42070721941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1070938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1435264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1800709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31357849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3401326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35314368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40075205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42247428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50031128 @default.
- W4207072194 hasRelatedWork W50692010 @default.
- W4207072194 hasVolume "85" @default.
- W4207072194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07072194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07072194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