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10479891> ?p ?o ?g. }
Showing items 1 to 55 of
55
with 100 items per page.
- W4210479891 endingPage "243" @default.
- W4210479891 startingPage "215" @default.
- W4210479891 abstract "본 연구는 ‘노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사례관리사를 ‘사례관리노동자’로 정의하고, 이들이 수행하는 감정노동의 성격을 분석한다. 그리고 과도한 감정노동이 발생하는 원인구조로서의 노동환경을 조직 내 위계 및 고용형태, 임금 및 복지 수준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사례관리 노동자의 전반적인 노동과정과 노동환경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사례관리노동자 248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설문 조사 내용을 보완하고, 보다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위해 FGI와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사례관리노동자의 열악한 노동과정과 노동환경은 이들의 감정노동을 심화시켰으며, 나아가 감정노동을 재생산하는 구조로 작용하고 있었다. 과도한 업무량과 실적부담, 사례관리대상자의 폭언과 욕설, 성희롱, 상급자와의 갈등 등 노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는 사례관리노동자의 감정노동을 심화시켰다. 그리고 경직된 조직문화, 공무원과 공무직 간의 위계적 질서, 공공부문 노동자로서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적 관습, 고용지위에 따른 임금 차별 등과 같은 열악한 노동환경은 이들의 감정노동을 재생산하고 있었다. 이러한 강도 높은 감정노동 결과, 대부분 사례관리노동자는 높은 수준의 감정 부조화와 손상을 경험했고, 이는 개인의 감정 문제를 넘어 가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 같은 감정노동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기관 내 공적인 감정노동 보호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사례관리노동자는 공적인 지원제도가 아닌, 사적인 연결망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처럼 조직이나 기관의 위계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 피로감과 열악한 노동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체적 피로감은 노동자들의 정서적 소진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일터의 근본적인 구조개선을 통해 전반적인 노동환경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default.
- W4210479891 created "2022-02-08" @default.
- W4210479891 creator A5047615185 @default.
- W4210479891 creator A5081601775 @default.
- W4210479891 creator A5086297900 @default.
- W4210479891 date "2022-01-31" @default.
- W4210479891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210479891 title "Emotional Labor of Case Management Workers: Focusing on the Labor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Workers in Daejeon" @default.
- W4210479891 cites W1505808893 @default.
- W4210479891 cites W2157057634 @default.
- W4210479891 cites W4249622483 @default.
- W4210479891 doi "https://doi.org/10.16881/jss.2022.01.33.1.215" @default.
- W4210479891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210479891 type Work @default.
- W4210479891 citedByCount "0" @default.
- W421047989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10479891 hasAuthorship W4210479891A5047615185 @default.
- W4210479891 hasAuthorship W4210479891A5081601775 @default.
- W4210479891 hasAuthorship W4210479891A5086297900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36103064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44133560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45236788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62324750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87736073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195094911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21547014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 C3018913694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36103064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44133560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45236788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62324750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87736073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195094911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21547014 @default.
- W4210479891 hasConceptScore W4210479891C3018913694 @default.
- W4210479891 hasIssue "1" @default.
- W4210479891 hasLocation W42104798911 @default.
- W4210479891 hasOpenAccess W4210479891 @default.
- W4210479891 hasPrimaryLocation W42104798911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1510063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15629178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16216450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20513044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21684859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23385817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40425511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49285002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5333863 @default.
- W4210479891 hasRelatedWork W16903494 @default.
- W4210479891 hasVolume "33" @default.
- W4210479891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1047989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1047989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