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24940930> ?p ?o ?g. }
Showing items 1 to 55 of
55
with 100 items per page.
- W4224940930 endingPage "265" @default.
- W4224940930 startingPage "237" @default.
- W4224940930 abstract "이 논문은 19세기 양반 가문의 가족 내 언간을 통해 한글 간찰의 자료적 특성을 밝히고 초계 정씨 가문의 간찰이 갖고 있는 특수한 성격과 가치를 주목하고자 하였다. 정씨 가문의 한글 간찰은 시공간적 배경과 작성자, 수신자의 인적 정보가 확실하게 밝혀져 있으며, 필자들의 개성과 삶의 양상이 풍부하게 서술된 내용성을 담고 있어 그 자료적 가치가 높다.BR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가족 내 여러 명의 간찰 작성자가 쓴 내용이 서로 연결되거나 참고자료가 되어주는 특성이다. 정씨 가문 한글 간찰은 1870년대에서 1880년대까지 약 10여년의 시기 동안 쓰인 것으로, 7~8명 내외의 가족들이 그 주요 작성자이며 언간을 받은 수신인 역시 가문 내 일원들에 국한된다. 이러한 간찰의 작성 시기 및 수발신자의 집중성은 편지의 내용적 차원에서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자연스럽게 교차 언급을 하게 만드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상호참조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BR 상호참조적 관점에서 정씨 가문 한글 간찰을 바라보았을 때의 구체적인 특징은 다음의 두 가지 차원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정현상의 과거 급제라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며느리, 어머니, 누나, 소실이 보낸 축하 언간이 각자의 가문 내 입장과 위치가 교차하면서 발생하는 차이의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었다. 둘째, 가문 내 주요 인물인 맏며느리 밀양 변씨와 시부, 시백부 간의 특별한 신뢰와 자애의 관계성이 상호적이고 양 방향적으로 구축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BR 이러한 간찰의 상호참조적 읽기는 한문 간찰 자료에서도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정씨 가문의 한글 간찰은 여러 인물들의 입체성과 그들의 가문 내 입지, 역할 등을 선명하게 부각시켜주며 또한 양 방향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특정 인물들이 맺었던 관계성의 상대적 진실을 확인하게 해주는 드문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default.
- W4224940930 created "2022-04-28" @default.
- W4224940930 creator A5008262857 @default.
- W4224940930 date "2022-03-31" @default.
- W4224940930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224940930 title "Intertextuality and the Meaning of 19<SUP>th</SUP> Century Old Korean Vernacular Letters: - The Old Hangeul Letters by the Jung Hyunsang Family of the Chogye Jung Clan -" @default.
- W4224940930 doi "https://doi.org/10.15565/jll.2022.3.89.237" @default.
- W4224940930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224940930 type Work @default.
- W4224940930 citedByCount "0" @default.
- W42249409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24940930 hasAuthorship W4224940930A5008262857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11472728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19165224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2720621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2780386941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2780876879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2781415766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52826635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11472728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24952713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3888566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4236211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44024400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19165224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27206212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2780386941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2780876879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2781415766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52826635 @default.
- W4224940930 hasConceptScore W4224940930C95457728 @default.
- W4224940930 hasLocation W42249409301 @default.
- W4224940930 hasOpenAccess W4224940930 @default.
- W4224940930 hasPrimaryLocation W42249409301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1958235523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2031331788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2280555665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2388782541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2999603784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3010061287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3018158323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4224940930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4238759580 @default.
- W4224940930 hasRelatedWork W72222687 @default.
- W4224940930 hasVolume "89" @default.
- W42249409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249409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249409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