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26136656> ?p ?o ?g. }
Showing items 1 to 43 of
43
with 100 items per page.
- W4226136656 endingPage "210" @default.
- W4226136656 startingPage "175" @default.
- W4226136656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전기 경상도 창원에 설치되었던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과정을 살펴보고 200여 년간 병영이 존속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1393년(태조 2)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각 도에 도절제사가 파견되었고 경상도 도절제사영이 지방군을 통솔했다. 1397년(태조 6) 2월에는 도절제사의 권한과 감독을 법제화하여 온전히 지방군을 주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동년 5월 에 군사요충지에 진이 설치되면서 병영이 폐지되었다. 태종대에 도절제사와 병영이 다시 복구되어 첨절제사의 진을 통솔하는 상위기관이 되었다. 1408년(태종 ) 7월에는 경상도를 두 개의 군사도인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분리시켜 두 명의 도절제사를 파견했고 이는 경상우병영의 시초가 되었다. 1412년(태종 12) 경상좌・우도를 다시 합치면서 경상좌병영의 군마가 우병영에 소속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다시 좌병영이 복설되었다. 1426년(세종 8) 11월에는 경상좌병영이 다시 철폐되고 우병영으로 합쳐졌다가, 1436년(세종 18) 12월에 복구되었다. 한편 좌병영과는 달리 우병영이 창원에 계속해서 존속할 수 있었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원은 고려 말 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어 병영성이 축조되어 있었다. 둘째, 경상도의 지방군은 육군과 수군으로 구별되는데 수군의 수가 훨씬 많았고 창원은 경상우도의 수군 진영과 가까워 연합이 용이했다. 1592년(선조 25) 4월에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당시 경상우병사 조대곤은 창원과 병영성의 방어를 포기하고 칠원으로 후퇴했다. 이 영향으로 4월 23일에 창원과 병영성이 일본군의 수중으로 떨어지고 병영 내 시설이 방화되었다. 9월 9일 창원을 다시 수복하였으나 곧 일본군의 반격을 받아 다시 병영성이 함락되고 말았다. 이후 경상우병영군은 진주성으로 접근해 왔던 일본군과 조우 하면서 전투를 벌였고 병력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한 채 전멸당하고 말았다. 이때의 패배로 관군 중심의 경상우병영군이 완전히 해체되었고, 이후에는 의병이 중심이 된 우병영군으로 재편되면서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경상우병영은 전쟁기간 동안 우병사가 주둔하는 곳이 곧 병영의 소재지가 되었던 만큼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면서 정착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603년(선조 35) 5월 경상우병영이 진주로 완전히 이설되었다. 진주로 이전된 배경 은 두 가지였는데 첫째, 창원에 우병영을 수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 둘째, 한 도의 주장인 병사가 적의 공격을 바로 받을 위치에서는 하루라도 지낼 수 없다는 점이었다. 결국 경상우병영이 진주로 완전히 이설하게 된 군사적 배경은 국지전에 중점이 두어졌던 체제를 지양하고 임진왜란과 같은 전면전을 대비하기 위해 방어체제를 변화시킨 것이었다." @default.
- W4226136656 created "2022-05-05" @default.
- W4226136656 creator A5087614030 @default.
- W4226136656 date "2021-12-30" @default.
- W4226136656 modified "2023-09-24" @default.
- W4226136656 title "Installation and relocation of Gyeongsang-woo barrack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efault.
- W4226136656 doi "https://doi.org/10.15186/ikc.2021.12.31.06" @default.
- W4226136656 hasPublicationYear "2021" @default.
- W4226136656 type Work @default.
- W4226136656 citedByCount "0" @default.
- W4226136656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26136656 hasAuthorship W4226136656A5087614030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166957645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199360897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2779019381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166957645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195244886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199360897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2779019381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41008148 @default.
- W4226136656 hasConceptScore W4226136656C95457728 @default.
- W4226136656 hasLocation W42261366561 @default.
- W4226136656 hasOpenAccess W4226136656 @default.
- W4226136656 hasPrimaryLocation W42261366561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2163720201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2282164848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2473330963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755678950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791359010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808188929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842907236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858635187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938251513 @default.
- W4226136656 hasRelatedWork W958391788 @default.
- W4226136656 hasVolume "79" @default.
- W4226136656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26136656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26136656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