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85405734> ?p ?o ?g. }
Showing items 1 to 52 of
52
with 100 items per page.
- W4285405734 endingPage "200" @default.
- W4285405734 startingPage "183" @default.
- W4285405734 abstract "최근 범죄자의 재범 방지 및 범죄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교정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내에서 보호관찰과 전자감독 등을 활용한 다양한 교정 활동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면 담당자의 직무만족도도 떨어지고, 이직률 자체도 높아져 조직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서 경찰이나 교도관, 소방관들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학계에서 어느 정도 진행되어 왔으나, 지역사회 교정 업무를 책임지는 보호관찰관의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의 보호관찰 직무스트레스 모델을 교정학 차원에서 검토하고, 스트레스 실태와 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조사했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범죄자를 지도, 감독하는 “보호관찰관(Probation and Parole Officers)”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실증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21년 12월 6일부터 약 열흘 동안 온라인 설문을 통해 보호관찰관 323명을 대상으로 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델의 R2 값이 13.4%의 종속변수 분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호관찰 업무특성 요인과 개인특성 요인 중 오직 업무특성 요인에 해당하는 일-가정 역할갈등만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372, p<0.05). 결과적으로 다른 변인들을 모두 통제했을 경우, 일-가정 역할갈등이 심각한 수준에 있을 때 보호관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예상과 달리, 보호관찰관이 경험하는 고유한 업무 위험성이나 보호관찰 공무원의 개인특성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자면, 보호관찰 조직 차원의 일-가정 역할 균형 분위기 조성이 직무스트레스 조절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효율적인 일-가정 균형 인사 관리 및 보호관찰 조직문화 형성이 급선무라고 하겠다." @default.
- W4285405734 created "2022-07-14" @default.
- W4285405734 creator A5076182262 @default.
- W4285405734 creator A5087750412 @default.
- W4285405734 date "2022-06-30" @default.
- W4285405734 modified "2023-09-25" @default.
- W4285405734 title "A Study on the Job Stress Levels of Probation Officers and Relevant Key Factors of the Job Stress in South Korea" @default.
- W4285405734 doi "https://doi.org/10.24055/kaps.24.3.8" @default.
- W4285405734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285405734 type Work @default.
- W4285405734 citedByCount "0" @default.
- W4285405734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85405734 hasAuthorship W4285405734A5076182262 @default.
- W4285405734 hasAuthorship W4285405734A508775041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21036866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271832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2985668427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70410870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7563057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13888566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15744967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21036866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271832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2985668427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4189520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70410870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75630572 @default.
- W4285405734 hasConceptScore W4285405734C77805123 @default.
- W4285405734 hasIssue "3" @default.
- W4285405734 hasLocation W42854057341 @default.
- W4285405734 hasOpenAccess W4285405734 @default.
- W4285405734 hasPrimaryLocation W42854057341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1889807169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1975309119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017412953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054737930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095297146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122445594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165120247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271189650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416758480 @default.
- W4285405734 hasRelatedWork W2994342817 @default.
- W4285405734 hasVolume "24" @default.
- W4285405734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85405734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85405734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