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85406479> ?p ?o ?g. }
Showing items 1 to 41 of
41
with 100 items per page.
- W4285406479 endingPage "68" @default.
- W4285406479 startingPage "33" @default.
- W4285406479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흥부전> 초기 이본과 동시대의 이본을 <연의각>과 비교하여 박타는 장면과 물명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러한 특징이 심정순의 <박타령>이 이해조 산정 대상의 조건이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의각>은 이해조가 심정순이 구술한 <박타령>을 듣고 이를 녹취 방법으로 정리하여 『매일신보』에 연재한 작품이다. 심정순이 활발한 공연 활동을 통해 판소리 창자로서 명성을 누렸다는 사실은 <연의각> 산정 대상으로 심정순의 <박타령>을 선택한 이유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송만갑, 이선유, 김창환 역시 심정순과 동시대에 활동한 인물인데다 이들의 바디와 심정순의 <박타령>은 공히 형제간의 우애라는 주제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이해조는 심정순의 <박타령>을 산정 대상으로 선택한 것이다. <연의각>에는 총 215개의 물명이 등장하며 이를 용도와 성격에 따라 나누면 23종으로 분류된다. <연의각>은 <개량박타령>, 신재효본보다 총 물명의 수는 적지만 9종의 비교 이본 중 가장 다양하다. 또한, <연의각>에는 각 이본에 나타나는 의복이나 장신구 관련 종류가 모두 포함되어 있고 주생활 관련 종류는 헛간 기물을 제외하고 모두 나타난다. 이처럼 <연의각>에서는 다양한 의식주 물명이 다른 이본에 비해 고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의각>의 기물은 남성 전유물에 치중되어 있지 않으며 박타는 장면에서 흥부 처의 비중과 역할 그리고 흥부 부부의 관계에 있어 여성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의각>에 농사와 관련된 기물보다는 교환가치를 가지는 재화가 등장하며 2차 산업 생산물이 다양하게 등장한다는 점은 동시대의 이본과 대별되는 지점이다. 또한, 환상성이 전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의 전개 과정에서 현실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 역시 동시대의 이본과의 차이점이다. 이해조는 동시대에 향유되었던 창본 중에서 <흥부전>의 본래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도시적이며 근대적인 성격을 가진 심정순의 <박타령>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가 가진 전통에 대한 관심, 계몽적 주제 의식의 맥락화, 여성에 대한 관심, 근대적 현실에 대한 묘사 등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소설적 기준에 입각하여 심정순의 <박타령>이 가장 적합한 텍스트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default.
- W4285406479 created "2022-07-14" @default.
- W4285406479 creator A5084848031 @default.
- W4285406479 date "2022-06-30" @default.
- W4285406479 modified "2023-09-29" @default.
- W4285406479 title "The Conditions of Formation of <Yeonuigak>, which focuses on the scene of opening gourd" @default.
- W4285406479 doi "https://doi.org/10.23836/kornov.2022.53.33" @default.
- W4285406479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285406479 type Work @default.
- W4285406479 citedByCount "0" @default.
- W428540647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85406479 hasAuthorship W4285406479A5084848031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 C107038049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 C144027150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 C2777130178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Score W4285406479C107038049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Score W4285406479C142362112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Score W4285406479C144027150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Score W4285406479C2777130178 @default.
- W4285406479 hasConceptScore W4285406479C86803240 @default.
- W4285406479 hasLocation W42854064791 @default.
- W4285406479 hasOpenAccess W4285406479 @default.
- W4285406479 hasPrimaryLocation W42854064791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2174196969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2205268564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2245338851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2586276786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2965088930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3081525394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3146505198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3157331903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4232183619 @default.
- W4285406479 hasRelatedWork W885960026 @default.
- W4285406479 hasVolume "53" @default.
- W4285406479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8540647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85406479 workType "article" @default.